2012년까지 3조2천억원 투입해 에너지화 시설 57개 설치

'마르지 않는 유전'으로 불리는 폐기물의 에너지화 시설이 대거 설치된다.

  
또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 등의 바이오매스 에너지화 종합전략도 마련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의 절반을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로 채우기 위한 것으로, 이명박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에서 선언한 '저탄소 녹색성장'의 후속조치다.

  
27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까지 3조2408억원의 예산을 투입, 고형연료화(RDF) 시설 20개소와 바이오가스화.발전시설 23개소 등 폐기물 에너지화 시설 57개소(처리용량 하루 1만4160t)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지방자치단체의 매립가스 회수시설 27개소(4240t/분)와 소각여열(소각후 남는 열) 회수시설 42개소(63만Gcal/년)도 확충, 보완된다.

  
이를 위해 전국을 중부권과 동부권, 호남권, 영남권 등 4대 권역별로 나눠 '폐기물 에너지타운'을 건설하고 시설계획 물량의 50%를 유치하게 된다.

  
이 같은 목표가 달성되면 2012년에는 가용폐기물(연간 1천218만t)의 31%가 에너지로 바뀌게 돼 연간 1조3373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된다.

  
또 1만7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민원과 님비현상이 해소되는 것은 물론 폐기물의 해양배출에 따른 국제적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020년까지 민간부문의 참여를 유도해 가용폐기물 전량을 에너지화하는 2단계 실행계획이 완료되면 연간 4조803억원의 경제효과와 5만명의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농촌은 가축분뇨와 음식쓰레기, 하수슬러지, 도시는 고형폐기물과 액상폐기물, 연안지역은 해조류를 각각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종합전략도 추진되고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8ㆍ15 경축사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용비율을 현재의 2%에서 2030년에는 11% 이상, 2050년에는 20% 이상으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의 국내 잠재량은 39억TOE(1TOE는 원유 1t에서 얻는 에너지의 양)로 1%만 활용해도 국내 에너지 수요의 20%의 공급이 가능하지만 그동안 활용 노력이 미흡했다.

  
폐기물 에너지는 이미 국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생산단가도 상대적으로 저렴(태양광의 10%)해 생산량의 획기적 증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태양광이나 풍력 등은 낮은 기술수준과 경제성으로 생산량의 비율이 각각 0.3%와 1.4%에 그칠 정도로 저조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7%를 수입하면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2006년 말 현재 2.24%(덴마크 16.8%, 독일 7.2%, 프랑스 6.9%, 미국 5.0% 등)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다.

  
환경부는 2050년까지 사용비율이 20%로 늘어나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폐기물과 바이오매스가 최소한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원유가격의 급격한 상승과 온실가스 감축의무의 가시화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가 시급한 상황에서 에너지화가 가장 쉬운 것이 폐기물과 바이오매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