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절차 접고 청산 결정, 전기는 한전에, 열공급은 대륜발전으로
양수도 아닌 사업권 포기…업계 "정부 방치한 구역전기 소멸위기"

[이투뉴스] 국내 1호 구역전기사업자였던 짐코에 이어 티피피(TPP)도 청산절차에 돌입, 국내 구역전기의 끝없는 추락이 계속되고 있다. 청산되는 티피피 권역에 대한 전기공급은 한국전력공사가, 열공급은 인근 집단에너지사업자인 대륜발전이 이어 받을 전망이다.

양주 고읍택지지구에 열과 전기를 직접 공급해 온 티피피는 최근 사업을 더 이상 끌고 가기 어렵다고 판단, 청산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기직판부문은 한전에 넘기고, 지역난방부문은 대륜발전으로 이관한 후 사업을 종료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의 경우 이미 한전이 TPP로부터 배전설비 등 관련 시설을 넘겨받아 직접 공급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열부문은 대륜발전에 넘기는 것으로 결론은 내고, 현재 인수가격 산정 등 마지막 조율만 남은 상태다. 양측은 빠르면 4월, 늦어도 6월부터는 새로운 업체가 열공급에 나선다는 목표 아래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열부문 이관은 사업권 양·수도 형태가 아니라 열배관망과 공급권만 대륜발전이 가져가는 방식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대륜발전이 연계배관망을 이미 설치해 티피피에 열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티피피의 열공급 부지를 인수하지 않는 것은 물론 직원에 대한 고용승계도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급부지는 물론 가스엔진을 비롯해 여타 공급설비의 경우 티피피가 별도업체에 매각할 예정이다. 설비 전체인수가 아닌 만큼 티피피가 고읍지구 사업권을 포기하면, 대륜발전이 집단에너지사업 변경허가를 통해 공급권역을 넘겨받는 형태다.

티피피는 지난해 8월 서울회생법원이 주재한 관계인집회에서 회생계획안이 가결돼 그동안 회생절차를 밟아왔다. 회생담보권(담보가 있는 채권)의 경우 10년 동안 나눠서 변제하는 대신 이자는 면제하거나 이자율을 대폭 낮췄다. 또 회생채권(非담보 채권) 중 83%는 출자전환하고, 17%만 분할납부한다는 조건이었다.

여기에 티피피 부실의 원인을 제공했던 부산연료전지 사업을 처분, 정리함과 동시에 양주 고읍지구 구역전기사업에 집중키로 했다. 이처럼 티피피는 기업회생을 위한 마지막 절차를 밟아왔으나 정상화에 성공하지 못한 채 결국 청산을 앞두게 됐다.

티피피가 예정보다 이른 해체과정을 밟게 된 것은 8000세대에 불과한 공급세대에 효율이 낮은 가스엔진(21MW, 3MW×7기)을 채택, 규모의 경제를 도저히 갖출 수 없는 구조였다는 점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공기업(한국가스기술공사)도 버티지 못하고 떨어져 나간 경기CES를 인수한 것도 실착이라는 평가다.

포스코에너지와 LTSA(장기점검보수계약) 분쟁이 발생해 어려움을 겪던 부산연료전지발전을 흡수·합병하는 등 연료전지와 구역전기사업을 접목하기 위한 시도 역시 부실을 앞당긴 요인 중 하나라는 분석이다. 한때 현물시장에서 높게 치솟았던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격이 곤두박질친 이래 다시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기는 한전, 열은 한난과 경쟁해야 하는 구역전기사업의 태생적인 한계도 발목을 잡았다. 두 마리 공룡에 끼여 압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결국 청산으로 이어진 것이다. 사업에 나선 국내 구역전기사업자 중 단 한 곳도 이익을 못낸 채 겨우 버티고 있다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구역전기업계 관계자는 “티피피가 청산절차를 밟게 돼 13곳이 넘던 구역전기사업자가 7곳으로 감소했다”며 “지역난방은 물론 전기를 소비자에게 직판, 새로운 에너지공급모델과 사업형태를 진흥·발전시키겠다며 정부가 만든 구역전기사업의 초라한 현실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항변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