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ESS산업 발전전략’ 내달 전격 발표
첫 대규모 부하평준화용…장기계약시장 개설

주요 발전제약 지역과 SPS(고장파급방지장치) 적용 권역도 ⓒKPX
주요 발전제약 지역과 SPS(고장파급방지장치) 적용 권역도 ⓒKPX

[이투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력망 부족으로 태양광 출력제한과 원전 감발운전이 잦은 호남지역에 1.5GWh규모 BESS(배터리기반전력저장장치)를 구축하는 계획을 세워 내달 발표할 예정이다. 잇단 화재 사고로 침체된 국내 ESS산업을 부양하는 동시에 재생에너지 증가로 계통 운영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호남지역의 전력망 개선을 동시에 꾀한다는 전략이다.

10일 <이투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올 상반기 국책연구기관에 의뢰한 ‘ESS산업 발전전략’ 수립용역의 내용을 이같이 정리해 현재 막바지 보완작업을 벌이고 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을 주축으로 전력거래소, 에너지기술평가원, 한전 전력연구원 등이 TF를 꾸려 기술자문과 관련 정책 데이터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변전소에 주파수조정용(Frequency Regulator)으로 설치하던 ESS를 GWh단위 수급균형용(Load leveling)으로 구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전이나 전력거래소가 추진한 기존 공공ESS 프로젝트 입찰가격에 비춰볼 때 최소 1조원 이상의 사업비가 소요될 전망이다.

이번 발전전략의 핵심목표는 ESS산업 재육성과 재생에너지 변동성 완화다. 정부는 2017년부터 모든 용도의 ESS에서 40여 차례나 화재가 잇따르자 조사위를 꾸려 원인 규명에 나서는 한편 기존 REC 가중치 지원을 일몰했다. 또 ESS 안전규제를 강화하고, 배터리 안전성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다년간 산업 지원정책이 진공 상태에 놓이면서 내수시장은 고사 직전이다.

대규모 공공 프로젝트로 이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전략이 세워지고 있는 배경이다. 이와 관련 최근 전력당국은 호남지역 ESS 최소필요량을 1.5GWh 내외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빛원전을 중심으로 북쪽으론 송전제약으로 몸살을 앓는 서해안 북상 송전선로 인근과 남서부 대규모 태양광단지 주요 계통 병목 지역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제주시범사업처럼 장기계약시장 개설이 유력하다.

정부가 올초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재생에너지 백업용 ESS 필요량은 각각 단주기 1.16GW/730MWh, 장주기 3.1GW/18.47GW이다. 2036년까지는 누적 단주기 3.66GW/2.29GWh, 장주기 20.85GW/124.97GWh(양수 1.75GW 포함)의 대용량 ESS가 필요하다. 정부 추산 예상 투자액은 최소 29조원에서 최대 45조원이다.

한 관계자는 “정부로선 어차피 10차 계획에 ESS 물량을 제시했으므로, 2030년까지 구축해야 할 사업을 조금 앞당기는 측면이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수소발전 등과의 비중조정이 필요하겠지만, 당장은 출력제어 완화 및 부하 평준화를 위해 제때 장주기 ESS를 확충해야 안정적 전력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발전전략 발표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ESS업계 관계자는 "ESS산업만을 위해서라기보다 청정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정적 전력수급을 위해서라도 지극히 당연한 처사"라면서 "미국의 경우 신규 태양광설비의 3분의 2에 ESS가 동시 설치되고 있다. 우리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장 관점에서 보면, ESS가 현재처럼 단순히 충·방전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대에 따라 피크부하 저감, 주파수제어 등 다양한 계통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산업육성 전략과 더불어 ESS의 전력시장내  규제정비도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