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신재생에너지포럼, '수소시범도시 구상 및 추진방안' 공개
수소생태계를 공급중심에서 도시기반 밸류체인으로 개선해야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한 친환경 수소 도시 정책 포럼'에 참여한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한 친환경 수소도시 정책 포럼'에 참여한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이투뉴스] 수소시범도시가 오는 2022년까지 신도시형 1개소 기존 중소도시형 2개소 등 3개소가 구축될 예정이다. 또한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존 공급자 중심에서 도시기반 수소·공급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형태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된 '수소경제 조기 구현을 위한 친환경 수소도시 정책 포럼'에서 권태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수소시범도시 구상 및 추진 방안'을 주제로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수소시범도시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권태규 책임연구원은 수소도시 추진방안으로 ▶도시내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 ▶분산발전형 도시거점 수소메가스테이션 건설 ▶수소에너지 플랫폼 구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도시내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해선 수소생태계를 기존 공급자 중심에서 도시기반 수요·공급 밸류체인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즉 공급자가 일방적으로 소비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아닌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소비자가 공급자를 겸하는 에너지(전기-수소) 유통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권태규 연구원은 "분산발전형 도시거점 수소메가스테이션은 결국 수소 저장·공급은 물론 수소를 필요에 따라 전기와 난방열로 전환해 공급하는 기능을 갖춘 도시거점을 말하는 것"이라며 "버스차고지, 물류기지 등에 수소메가스테이션을 구축해 수소버스·수소화물차 충전인프라 및 주변 건물 및 공동주택의 수소공급인프라로 활용하는 다양한 역할을 맡아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소도시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수소생산 액화플랜트 구축 ▶수소이송파이프 등 수소그리드 건설 ▶수소메가스테이션 구축 ▶수소 공급과 거래를 운영·관리하는 플랫폼 등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소시범도시 구축을 위해선 수소도시법 제정을 비롯해 도시 규모 및 수소생산 지역과 거리, 생산방식, 기술 확보 단계에 따라 단기-중기-장기 등 단계별 수소시범도시를 조성하고 수소 안정성 및 수용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검토 중인 수소시범도시 구상안에 따르면 1~2단계 과정인 2022년까지 수소에너지 자급자족이 가능한 신도시형 1개소와 기존 중소도시형 2개소 등 모두 3곳의 수소시범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단기-중기-장기적 수소도시 조성 및 전국토 수소그리드망 구축도 추진한다. 단기적으로 부생수소 생산지(50km이내) 중심의 수소시범도시를 조성하며, 중기적으로는  LNG인수기지 주변(100km 이내 생산지)에 수소시범도시를 만든다. 장기적으로는 신재생에너지 단지 및 내륙 물류기지를 활용한 수소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이외에 수소 해외수입 모델을 수립, 호주 갈탄으로 생산한 수소 또는 태양광발전 등으로 생산한 수소(2025년부터 kg당 2.5달러로 일본수출 예정)의 수입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권 연구원은 수소시범도시를 구축하기 위한 수소도시 구축전략과 법제도 필요성을 역설하며 "수소도시는 수소 활용이 기술·제품·시스템 등 모든 분야에 수소를 적용한 도시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신도시·혁신도시, 수소활용 선도지역에 시범도시를 조성하고, 인프라 구축 지원과 규제특례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수소도시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수소도시법을 제정해 도시 내 수소활용 인프라 설치, 관리, 정비 등 제도화 방안과 주민들이 수소에 대한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진경남 기자 jin0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