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페트병 배출 시범사업으로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 본격화
올해 12월부터 페트병 분리배출제도 전국 공동주택으로 확대

[이투뉴스] 투명한 페트병을 따로 모아 의류나 가방, 화장품병 등을 만드는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이 본격화된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국내 기업과 협업으로 올해 2월부터 실시한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시범사업’이 고품질 재생원료제품으로 거듭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올 2월부터 서울, 제주도(제주, 서귀포), 천안, 김해, 부산 지역에서 진행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시범사업은 공동주택 및 거점수거시설에 별도 수거함을 설치하는 한편 단독주택에는 별도배출 봉투를 배부해 이를 수거했다.

정부와 민간의 투명페트병 별도배출 협업은 국내 최초로 국민들이 배출한 폐페트병으로 고품질 재활용제품을 생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간 폐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장섬유 및 의류는 전량 수입 페트병으로 제작(연 2만2000톤 수입 추정)됐기 때문이다.

▲효성TNC-플리츠마마 니트 및 가방
▲효성TNC-플리츠마마 니트 및 가방

먼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수거한 페트병은 플리츠마마, 효성티앤씨에서 니트재질 의류 및 가방을 제작하는데 사용됐다. 또 스파클에서 방문수거한(역회수) 페트병으로 블랙야크, 코오롱에프앤씨, 티케이케미칼에서 기능성 의류를 생산했다.

에스엠티케이케미칼은 천안시에서 별도로 배출된 투명페트병으로 화장품병을 제작해 병에서 다시 병(Bottle to Bottle)을 만드는 고품질 재활용 생산도 이달부터 시작했다.

환경부는 이러한 시범사업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수거-선별-재활용-제품생산 전 단계별로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수거단계에서 깨끗한 투명페트병이 모일 수 있도록 ‘재활용가능자원의 분리수거 등에 관한 지침’을 개정해 올해 12월부터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을 전국 공동주택으로 확대, 시행한다. 단독주택은 2021년 12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폐페트병으로 만든 블랙야크 티셔츠.
▲폐페트병으로 만든 블랙야크 티셔츠.

아울러 올해 하반기에는 현재 포장재 재질이 표기된 분리배출표시에 배출방법을 병행 표시하도록 개선하고, 이를 적극 홍보해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배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 계획이다.

제주도, 천안시 외에 다른 지역에서 수거한 투명페트병도 고품질 재활용제품에 활용되도록 선별-재활용(재생원료생산)-재생원료가공-최종제품생산까지 민관협업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7월 참여기업 공모 등을 통해 새로운 재활용제품 종류를 늘리고,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시설 개선 및 수입재생원료 대체 설비투자 지원사업을 병행한다.

재생원료 수요창출에 필요한 제도기반도 구축한다. 2021년부터 제조사들의 재생원료 사용여부에 따라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분담금을 차등화하고,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생산을 위해 재생원료 품질등급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러한 민관협업의 확대와 제도개선은 그간 양적 재활용에 치중해 온 국내 재활용업계 구조를 질적 재활용을 위한 순환경제체제로 전환하고, 국내 기업들의 재생원료산업 투자 확대와 세계 재생제품시장으로의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코카콜라 등 글로벌 기업들은 재생원료 사용 확대를 위한 자체 목표를 선언한 바 있다.

2018년 전 세계 페트 재활용 시장규모는 68억달러로 추정(섬유시장의 44.8%)되며, 재생원료 사용 확대 흐름에 따라 2026년 125억달러(1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23만7000톤의 페트를 재활용했으나 대부분 부직포, 솜 등 단섬유로 재활용(55%)되고 있다. 향후 시범사업 성과와 같이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장섬유 재활용(의류 등)으로 10만톤까지 확장하면 4200억원 규모의 신규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재생원료 사용 확대는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초석으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내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순환경제체제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고 제도개선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