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수소 튜브트레일러·수소충전소 안전관리 강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공포 및 시행

[이투뉴스] 수소경제와 관련한 국민 안전 확보 차원에서 수소충전소 및 고압수소 운반차량(튜브트레일러)에 대한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된다. 이와 함께 수소차 운전을 위해 의무적으로 받아야 했던 수소차 운전자 안전교육 제도와 수소충전소 설치 기준이 합리적으로 개선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효과적인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안전관리를 위해 26일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을 개정·공포하고, 6개월 뒤인 8월 26일부터 시행한다.

이번 시행규칙 개정으로 고압수소 튜브트레일러 안전검사 기준이 강화된다. 고압수소 튜브트레일러 검사기준에 저장용기 연결 배관의 내압·기밀성능 확인 및 저장용기 고정 프레임 강도·내구성 등을 추가했다. 연결 배관의 경우 재료, 강도 및 두께, 내압·기밀성능, 교체 및 연결 기준 등이며, 고정프레임은 강도 및 내구성, 배관 및 부속품 보호구조 등이다.

이를 통해 고압수소 운반 및 수소충전소의 수소저장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압수소 튜브트레일러에 대한 안전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압수소시설에 연결된 저압수소 시설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고압수소시설과 연결된 저압수소 시설을 고압수소 시설과 동일하게 허가, 기술검토, 검사 등의 안전관리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당초, 저압수소(10bar 미만) 시설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적용대상인 고압가스가 아니어서 별도의 허가, 검사를 받고 있지 않았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강릉TP 수소사고로 제기된 고압수소시설에 연결된 저압수소시설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2019년 5월 발생한 강릉 TP 수소탱크 폭발사고는 저압 수소시설인 수전해 설비의 산소가 고압 저장탱크(설계압력: 12Bar)로 유입돼 빚어졌다.

이와 함께 복층형 수소충전소 설치 기준도 구체화된다. 수소충전소 설비 중 냉동설비(냉각기), 전기설비(제어판), 소화설비 등 부대설비는 건축사 등 전문가의 건축물 구조안전 확인을 전제로 복층설치를 허용해 충전소 사업자의 부지 확보 부담을 완화시켰다.

◆복층형 수소충전소 설치 기준 구체화
충전소 핵심설비인 저장설비(튜브트레일러), 처리설비(압축기), 압축가스설비(압력용기) 및 충전설비(충전기)는 현행대로 지면에 설치한다. 미국, 일본도 복층형 수소충전소를 허용하고 있다.

수소충전소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제공 근거도 마련했다. 산업부 및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수소 충전소 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해 수소충전소 사업자뿐만 아니라 한국가스안전공사도 수소충전소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소충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중으로, 하반기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수소충전소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긴급차단장치, 가스누출검지기 등 수소충전소 안전장치의 작동정보를 한국가스안전공사의 모니터링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해야 한다.

수소차 운전자 교육제도도 개선된다. 그동안 수소차는 차량 소유자 등 상시 운전자뿐만 아니라, 단기 또는 대리운전자 및 렌트카 운전자 등 일회성 운전자도 안전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했으며, 교육 미이수시 과태료 부과 대상이었다.

그러나 최근 차량 안전성 향상 및 LPG차량, 전기차 등 다른 차량과의 형평성 등을 이유로 관련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LPG차량 운전자 안전교육은 2018년 12월 폐지됐으며, 전기차는 안전교육이 없다.

이에 따라 수소차 중 일반승용 운전자는 안전교육 대상에서 제외하되,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수소버스 운전자는 현재와 같이 안전교육을 받도록 했다. 다만 운전면허시험에 수소차 안전관리 포함, 무료 교육 동영상 제공, 수소충전소에서 수소차 가스누출 점검 실시 등을 통해 기존 안전교육과 동등한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미 올해 1월부터 운전면허시험에 수소차 안전관리 사항이 반영됐으며, 충전소 사업자는 고압가스법에 따라 차량의 수소누출 점검이 의무화되어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는 안전에 기반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9년 12월 ‘수소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한 이후 ‘수소경제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등 수소 제품 및 시설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소충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안전성 평가 및 정밀안전검사 도입 등 수소 안전관리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