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고리 이어 한빛과 한울 건식저장시설 추진
"중간저장시설 운영 전 한시 저장 목적으로 활용"

[이투뉴스] 기존 저장고 포화로 갈 곳이 없어진 사용후핵연료(고준위핵폐기물)를 기존 원전부지가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 한국수력원자력이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건설 추진에 이어 영광 한빛원전과 울진 한울원전에도 건식저장시설을 추가로 짓기로 했기 때문이다. '원전의 요람이 결국 원전의 무덤이 될 것'이란 예측이 현실화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원자력당국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6일 방사선보건원에서 이사회를 열어 한빛·한울 건식저장시설 건설 추진계획안을 의결했다. 올해 2월 고리원전 임시저장시설 증설 계획 발표 두 달만에 추가로 주요원전 임시저장시설 확충계획을 공개한 것이다.  

이들 건식저장시설은 원자로에서 1년 반 이상 핵분열 반응을 일으켜며 연료로 사용된 뒤 수조에 담겨 5년 이상 냉각시킨 핵연료를 발전소 안에 임시저장하는 용도로 쓰인다. 기존 한빛원전과 한울원전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며, 설계부터 인허가 및 건설 완공까지 7년을 예상하고 있다. 한수원은 한빛원전과 한울원전의 기존 임시저장시설이 포화되기 전인 2030년부터 운영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당국은 지역주민 반발을 우려해 "이들 시설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 기본계획대로 중간저장시설이 건설될 때까지 한시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시설용량도 중간저장시설 가동 전까지 원전 운영에 필요한 최소 저장용량으로 건설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앞서 올해 2월에도 한수원은 2030년까지 사용후핵연료 2880다발을 저장할 수 있는 고리 임시저장시설을 짓겠다고 밝혔었다. 당시 한수원은 건식저장방식이 원전을 운영하는 33개국 가운데 24개국이 채택한 저장방식이라며 "지진·해일 등 자연재해와 의도적인 항공기 충돌 등에도 안전하게 운영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의하면 윤석열정부의 원전증설 및 이용률 극대화와 수명연장 정책에 따라 각 원전의 핵폐기물 포화시점이 기존보다 당겨지고 있다. 2021년 고준위 방폐물관리 기본계획 당시 2031년 저장과 포화를 예상한 한빛원전은 2030년으로, 한울원전은 2032년에서 2031년으로, 신월성은 2044년에서 2042년으로 각각 1~2년씩 포화시점을 앞당겨서 예상하고 있다.

이런 정책에 의해 기존보다 약 15만9000다발의 사용후핵연료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9월 기준 누적 사용후핵연료 발생량은 51만5000다발(약 1만8000톤)에 달한다. 이 가운데 경수로 폐연료 2만1000여다발(8900톤)이 원전내 습식저장조에 담겨 있고, 중수로 폐연료 49만4000다발(9300톤)이 습식저장조와 건식저장시설에 쌓여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