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위원회, 디지털 전환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 마련
2030년까지 청정메탄올 50만톤 생산…녹색신산업으로 육성

[이투뉴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전환으로 탄소감축 추적·관찰 및 에너지 효율화 등 탄소중립을 촉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아울러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30% 감축하는 한편 2030년까지 청정메탄올을 50만톤 생산하는 등 녹색신산업으로 육성한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23일 서울 상암동 누리꿈 스퀘어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023년 제5차 전체회의를 열고, 그린 디지털 전환을 통해 탄소중립 달성을 촉진하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을 마련했다.

더불어 해운·조선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친환경 연·원료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도 발표했다. 또 ‘2030 메탄 감축 로드맵’과 ‘공공부문 탄소중립 추진방안’과 함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변경에 따른 배출허용총량 조정 방안’도 심의·의결했다.

탄중위는 에너지 효율화, 탄소 배출량의 추적·관찰 등 탄소 감축의 핵심역량인 디지털 기술을 산업과 일상에 적용, 탄소중립을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산업과 일상 전반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디지털 트윈 등을 적용해 탄소 배출량을 감축을 촉진한다는 복안이다.

세부적으로 ▶에너지 생산·배분 ▶육상·해상·항공 등 수송부문 에너지 저감 ▶건물부문 에너지 수요관리 ▶농·축·수산 생산성 제고 ▶자원순환 및 폐기물 수거 등 자원·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디지털 기술 및 솔루션 개발에 본격 나선다.

더불어 시장을 중심으로 그린 디지털 전환이 자발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문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지자체·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그린 디지털 전환 솔루션 도입을 지원하는 등 초기 수요·시장 형성을 지원한다.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디지털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네트워크 등의 인프라를 저전력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또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유·무선 네트워크의 에너지 저감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고효율화, 냉각·공조 등 기반시설 저전력화, 에너지 소비 모니터링·최적화를 위한 통합제어 솔루션 개발에도 나선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제5차 2050탄소중립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제5차 2050탄소중립위원회 전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정메탄올도 K-텍소노미 포함
국제해사기구의 선박 탄소배출규제, EU 탄소국경조정제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등의 환경이슈가 경제이슈로 진화함에 따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특히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텍소노미)에 청정메탄올을 포함해 투자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청정메탄올의 생산여건 개선을 위해 수소·탄소원 등 원료 물질을 확보하고, 기술확보 및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R&D 투자를 확대한다. 여기에 계통 미연계, 과잉생산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도 확대해 경제성 있는 수소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유기성폐자원(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의 바이오가스화 시설 확대 및 바이오발전소 CO2 포집을 통해 재생 탄소원을 확보하고, 발전·철강·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한 CO2도 포집·활용한다. 정부는 청정메탄올 품질기준 마련과 친환경선박 전환 지원 등을 통한 수요 확보, 금융·공공구매 등 제도적 지원, 청정메탄올 생산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시장형성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국제메탄서약’과 ‘탄소중립 정부 이니셔티브’ 등 국제 이니셔티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2030 메탄 감축 로드맵’과 ‘공공부문 탄소중립 추진방안’도 수립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의 메탄 배출량은 2740만톤CO2eq으로, 국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28배로, 지구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집중적인 감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농업·폐기물·에너지 등 메탄 다배출부문을 대상으로 감축 신기술 및 정책을 집중 추진하고, 보조 감축수단으로 국제감축실적을 확보해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30% 이상 감축할 계획이다.

공공부문 탄소중립을 위해선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대상기관의 건물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7% 감축한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공공 건물·차량 부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등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앞장선다는 방침이다. 

올해 4월 새로 수립한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과 ‘배출권거래제 제3차 계획기간(2021∼2025년)’의 부문별·연도별 온실가스 감축경로가 상이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로드맵도 조정했다. 3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을 기존 30억4800만톤에서 30억3500만톤으로 1300만톤 축소했다.

한덕수 총리는 “세계경제포럼에서 디지털 기술 전환을 통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20%까지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인 ICT 기술을 얼마나 속도감 있게 탄소감축에 접목시키고 혁신해 나가느냐가 산업경쟁력 확보에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정메탄올은 해운·조선,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국내외 수요가 급증하고 관련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며 “정부가 마중물이 되어 우리 기업이 청정메탄올 산업을 주도할 수 있도록 태백시를 청정메탄올 생산의 메카로 전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채덕종 기자 yesman@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