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위성 영상데이터 활용기술로 성능 15% 개선
제주 시범사업 및 대규모 자원운영 능력과 시너지

기상예측 모델 개념도.
기상예측 모델 개념도.

[이투뉴스] 해줌 데이터사이언스팀은 AI기술로 발전량을 실시간 정밀예측하는 기상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3시간 단위에서 실시간 예측으로 진화했을 뿐 아니라 1~2시간 후 발전량까지 예측할 수 있다.

성능은 기존보다 15% 가량 개선했다. 해줌의 기술력은 핵심변수인 구름의 양과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인공위성 영상데이터 활용능력에 있다. 방대하고 다루기 까다로운 위성 영상데이터를 정제해 독자모델로 완성했다.

또 제주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시범사업 참여경험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에서 최대규모 자원을 운영해온 역량을 더해 기술신뢰도를 높였다.

새로 도입될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서는 예측발전량과 실제발전량의 오차를 ±6% 이내로 맞추지 못하면 임밸런스 패널티를 부과한다. 발전사업자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권오현 해줌 대표는 “예정된 육지 재생에너지 입찰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발전사업자의 수익을 지켜줄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면서 “실시간 기상예측 모델을 개발해 입찰제도 대응을 마쳤다”고 말했다.

최인영 기자 doda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