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공급 완화 시점서 규모의 경제 실현해야

 

▲ 김재현 책임연구원(오른쪽)이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및 혁신 정책토론회'에서 r&d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왼쪽부터)이재형 성균관대 교수, 정종식 포항공대교수, 류태규 지식재산연구원 팀장.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및 혁신 정책 토론회

[이투뉴스]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저가격 고효율의 제품개발과 규모의 경제 실현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달 29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그린에너지 기술 사업화 및 혁신 정책 토론회'에서 김재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태양광 시장은 벨류체인을 형성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생존할 수 있다"면서 "태양광 산업을 계속 육성하려면 우선 저가격 고효율 기술개발에 집중하면서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투자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대규모 저가 공세에 산업 육성을 포기할 게 아니라면 현재 시장 침체를 잘 버텨내고 대기업들이 투자를 늘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에너지 산업은 반도체나 자동차 산업보다 포션 자체가 몇 배 이상 크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투자를 시작하면 현재 중국의 태양광 규모 정도는 충분히 넘어설 수 있다"며 "실제로 JA솔라나 선텍 등 중국업체를 방문해 내부 상황을 파악한 결과 우리 기업이 충분히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향후 초과공급 현상이 완화되는 시점에서 대기업들이 본격적인 투자에 나설 경우 중국의 공세는 충분히 막아낼 수 있다는 게 김재현 연구원의 설명이다.

국가 R&D 정책에서는 각 부처별로 역할을 분담하고, 수행자들의 R&D 참여에 대해 전제조건을 달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교육과학기술부는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10~15년을 내다보며 원천기술을 개발해야 하고, 지식경제부는 대기업의 R&D 참여 역할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대기업들이 R&D 진행에 대해 시장의 흐름을 판단하고 가이드 역할을 하는 '카운트 파트너' 형태로 참여하는 게 맞다고 입을 모았다.

정종식 포항공대 교수는 "대기업들이 미래를 보고 그린에너지 R&D를 꾸준히 해야 한다"면서 "국가적인 사명감을 갖고 미래 사업으로 진행해야지 노력은 하지않고 과실만 가져가려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또 "그린에너지 산업은 워낙 유동적이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고 당연히 투자도 쉽지 않다"면서도 "R&D 없이 해외 기술을 들여와 사업하면 중소기업의 장비·부품 인프라는 확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부민 기자 kbm02@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