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제주도, 수급난 해소방안 견해차
가스공사·발전사 우호적 여론조성 가세

[이투뉴스] 육지에서 전력수요의 약 30%를 해저케이블로 조달하고 있는 제주도의 에너지자립 방안을 놓고 60만 인구의 탐라국이 들썩이고 있다. 의견은 뭍사람과 섬사람으로 양분되는 양상이다. 

도 측은 LNG발전소 건설과 그에 따른 LNG공급망 구축을 갈망하는 반면 한전은 제3 해저케이블(HVDC)을 깔아 향후 풍력발전 전력 역송에 대비하는 게 우선이라는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3일 제주도와 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도내 전력사용량은 매년 증가해 올해 현재 700MW에서 2017년 800MW, 2027년 1000MW 수준으로 연평균 1.7%씩 늘어날 전망이다.

6차 수급계획의 목표년도인 2027년의 연간 수요는 4563GWh로 예측된다.

그러나 제주지역의 발전설비는 기존 중유발전소와 출력이 불규칙한 풍력발전 설비까지 포함해도 745MW 수준에 머물고 있다.(해남-제주간 HVDC 케이블 전력 수송능력 150MW 제외)

당장은 전력수급에 큰 문제가 없지만 연료비가 비싼 중유를 발전원으로 사용하다보니 HVDC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측치보다 수요가 크게 늘 경우 섬 특성상 단기간 발전원 확충도 어렵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 뭍과 제주를 연결하는 HVDC 선로에 장애가 발생하면 속수무책으로 전력난을 겪어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 유일한 '탯줄'인 제1 해저케이블은 개통 이후 수십차례의 정전사고를 야기했다.

1999년 육상 송전선 고장으로 발생한 40분짜리 광역정전을 비롯해 2006년 4월에는 배 닻이 케이블을 건드려 무려 2시간 30분동안 섬 전체가 마비되기도 했다.

이 케이블은 앞서 지난달 29일에도 순간고장을 일으켜 일시 공급중단되는 일촉즉발의 상황에 처했었다. 전송능력 150MW(설비용량 300MW) 규모의 제 2케이블이 조만간 시험가동에 들어가 내년 준공될 예정이지만 제주도민이 육상조달형 전력수급체계를 못미더워 하는 이유다.

이런 이유로 도 측은 올초부터 줄기차게 LNG발전소 건설을 요구하고 있다.

도는 ▶제주지역의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크게 늘어 수급불안이 우려되고 ▶HVDC 연계선은 신뢰성과 적기건설 가능성이 낮은데다 ▶제주도가 궁극적인 에너지자립을 실현하려면 LNG발전이 불가피하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물론 제주도의 속내는 이게 다가 아니다. LNG공급시설이 없는 도는 LPG를 도시가스 연료로 사용하다보니 울며 겨자먹기로 육상보다 배 가까이 비싼 연료비를 지불하고 있다. 도시가스를 LNG로 바꾸고 싶어 한다. LNG인수기지 건설을 전제로 한 발전소 건설에 구미가 당길 수밖에 없다.

반면 정부와 한전은 서두를 일이 아니라 향후 수요변화를 지켜보면서 결정하자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특히 한전은 LNG발전소보다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전남-제주간 200MW급 제3 해저케이블을 선(先) 구축해 육상에서의 수급능력을 확충하는 게 경제적이란 주장을 펴고 있다.

이는 2030년까지 2GW의 해상풍력을 개발해 전력사용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도의 '탄소없는 섬(Carbon Free Islan)' 구축 계획과도 궤를 같이 한다. 향후 풍력발전량이 늘어나면 남는 전력을 육지로 보내는 해저케이블이 확보돼야 한다. 현재 한전은 제3 케이블 노선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시행중이다.

양 측의 갑론을박 가운데 판세는 일단 LNG발전소 건설에 우호적으로 흐르고 있다. 사업영역 확대를 꾀하고 있는 가스공사와 발전자회사 등 이해당사자들이 적극적이어서다.

가스공사는 제11차 천연가스 수급계획에 애월항 LNG인수기지 건설과 주배관 건설이 포함된만큼 LNG발전소를 짓겠다면 연내 기지확장 건설 여부가 확정돼야 한다고 재촉하고 있다. 발전소 사용량을 감안하면 애월항 인수기지 저장용량을 기존 5만㎘에서 10만㎘로 늘려야 한다.

여기에 6차 전력수급계획 때 제 3 해저케이블 미반영을 전제로 제주복합화력 건설의향서를 제출한 중부발전과 기존 중유발전 사업자인 남부발전도 발전소 건설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정부는 미온적이다. 제주도는 지난 6차 수급계획 수립 시 중부발전이 복합화력 건설의향서를 작성하는 과정에 동의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계획이 반영되지 않도록 한 장본인이다. 이제와 말을 바꿨다고 간년도 계획에 이를 반영시켜 주면 다른 지자체와 형평성 시비가 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양성배 전력거래소 수급계획팀 처장은 "제주지역의 공급대안 결정은 미래 전력수요 재전망을 통한 공급신뢰도 확보여부와 대안간 경제성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특히 한전과 발전사의 건설의향, 가스공사 입장, 도 신재생 확대계획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