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동결에 판매량 급락, 제반비용 급등…경영 빨간불
서울시도 ‘공급비용 인상 불가피’ 인정…반영 폭이 관건

[이투뉴스] 해를 넘겨가며 서울권역 도시가스 5사 담당자를 곤혹스럽게 했던 소매공급비용 조정이 오는 7월에는 이뤄질 것인가. 또 이뤄진다면 얼마나 조정될 것인가.

지난해 6월부터 시작돼 추석으로 이어진 뒤 연말에는 공문으로 익년 3월 공급비용 조정을 다짐했으나 결국 물가대책심의위원회에 상정조차 못한 전례가 있다 보니 올해는 공급비용이 조정된다고 장담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나마 서울시 담당부서가 공급비용 조정의 당위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게 위안거리다.

지난 3년 간 이런 저런 이유로 조정이 이뤄지지 못한 공급비용에 도시가스사가 올해 특히 목을 매는 건 그만큼 사정이 급박하기 때문이다.

우선 판매물량 감소세가 심각하다. 올해 1분기 누계 판매실적이 사상 처음으로 두 자리수 이상 급감한데서 이 같은 상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그동안 서울권역의 도시가스 판매 신장률이 지속적으로 둔화되어 왔다고는 하지만 5개사 모두 전년대비 두 자리 수준으로 감소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가정용 물량이 가장 많은 서울도시가스의 경우 올해 들어 3월까지 7억8539만㎥를 판매해 전년동기대비 14.1% 감소했으며, 대용량 수요처 이탈로 곤혹을 치른 코원에너지서비스는 6억3000만㎥를 기록해 전년보다 14.9% 줄었다.

예스코도 1분기 판매량이 4억4174만㎥로 전년동기대비 14.5% 감소했으며, 대륜E&S는 3억6700만㎥를 판매하는데 그쳐 12.8% 감소하는 기록을 남겼다. 강남도시가스도 1억3636만㎥의 판매실적으로 전년동기대비 12.3%의 두 자리 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 같은 감소세는 1~2월에 도시가스 수요가 가장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베이스로 9% 이상 판매물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 5사의 판매물량이 1% 감소할 경우 공급비용 상승요인이 ㎥당 0.6원이라는 계산이고 보면 판매물량 감소만으로 ㎥당 5.4원의 인상요인이 발생하는 셈이다.

여기에 올해는 지난해와 달리 고객센터 지급수수료 현실화, 사회적배려대상자 요금 추가인하, 신용카드 전면결제 도입 등에 따른 조정요인이 추가된다.

고객센터 지급수수료의 경우 회사별로 총괄원가를 반영하는 정도가 다르지만 서울시가 공급비용 조정과는 별개로 현실화를 추진하면서 평균 ㎥당 2원 상당의 요인이 발생, 이를 2년으로 나눠 반영한다 해도 올해만 ㎥당 1원이 들어간다는 계산이 나온다.

또한 사회적배려대상자 요금 추가인하에 따른 조정요인이 ㎥당 1.3원 정도로 추산된다. 올해 초부터 도입된 신용카드 전면결제에 따른 조정요인은 도시가스사와 카드사와의 협의과정에서 수수료를 최소화해 ㎥당 0.3원 안팎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서울시가 2011년 약속한 보상분 1.29원을 포함한 2012년 미인상분 1.62원을 감안해 지난해 조정대상에 오른 1.93원을 더할 경우 최소 ㎥당 10원 이상의 인상요인이 발생한다.

인상이 이뤄진다 해도 관건은 조정 폭이다. 정치·경제적인 변수가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도시가스사들이 ㎥당 10원 이상의 조정에 당위성을 부여하고 있는 반면 서울시로부터 공급비용 용역을 의뢰받은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당 8원 정도를 연구결과로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요금 승인권자인 서울시는 직접적으로 구체적인 수치를 내놓지 않으며 말을 아끼고 있다. 담당부서는 인상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지만 보고과정에서 상부의 최종적인 결정은 물론 물가대책심의위원회 통과 여부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지금까지 서울시의 공급비용 인상폭이 투자재원 차감을 제외하더라도 최대 ㎥당 5원 이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잘해야 6원 안팎이 아니겠냐는 추측을 내놓기도 한다. 실제 ㎥당 4원의 공급비용 인상이 이뤄질 경우 지난 3년 전부터 이어져온 1.93원에 고객센터 지급수수료 1원, 사회적배려대상자 추가인하분 1.3원 등을 감안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도시가스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시민을 대표하는 행정부서로서 서울시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다”면서 “가뜩이나 서민경기가 어려운 마당에 인상요인을 모두 그대로 반영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어려운 과정을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구체적인 수치는 제시하지 않았지만 인상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는 것으로 느낀다”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안전·안정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조정해줄 것은 조정해주고, 소비자 편익 제고를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겠느냐”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서울시가 물가심의위에 어떤 시나리오를 상정하느냐와 해당 상정안의 물가심의위 통과 여부에 따라 서울 도시가스 5사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