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 Power Conference 2015] 온실가스 규제 타개책 마련에 발전업계 부심
생산원가 절감 위한 발전설비 최적화에 관심 집중

(왼쪽부터) 토니 리카다 ceo, 아디타야 자얌 프라브하카르 연구원, 블록 앤드류 엔지니어, 스티브 코넬리 nrg 수석부사장.

[이투뉴스] ‘온실가스 감축과 강화된 환경규제를 달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관건은 비용과 방법일 뿐.’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시 로즈몬트 'Electric Power Conference 2015' 환경 메가세션 룸(Mega Session Room). 미국 전역과 전 세계 주요국에서 참석한 수백명의 전력·발전업계 관계자들의 시선이 단상에 마련된 네 개의 의자로 쏠렸다.

토니 리카타 리카타 에너지&환경 컨설턴트사(社) CEO의 사회로 아디타야 자얌 프라브하카르 미국중서부(MISO) 정책 연구원, 블록 앤드류 번&맥도넬 환경 엔지니어, 스티브 코넬리 NRG 수석부사장(NRG는 미국 최대 전력회사) 등이 패널석에서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날 토론회의 주제는 ‘환경을 고려한 전력시스템의 재조정(Rebalancing the electric system for enviroment consideration)'. 온실가스 6% 감축을 골자로 하는 미국 환경청(EPA)의 새로운 청정 전력계획이 2017년께 공표될 예정인 가운데 어떻게 발전시스템 최적화해 이에 대응할 것인지가 화두다. 

주(州)마다 차이가 있지만 전체 전력믹스에서 석탄화력 비중이 여전히 높은 미국은 오바마 행정부의 고강도 청정에너지 정책에 큰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강화될 법대로라면 전력수요가 그나마 높은 연중 7개월밖에 발전소를 가동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미국내 전력수요는 경제성장과 무관하게 감소세를 타고 있다. 노후발전기 중심으로 전체 발전기의 3분의 1 가량이 개점휴업 상태란 게 업계의 전언이다. 올해 컨퍼런스의 최대 관심사가 자연스럽게 발전원가 제고를 위한 설비 최적운영 방안과 환경규제 극복 전략으로 모아진 배경이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주요 패널들은 EPA가 만들 새 환경법이 주마다 제각각인 여건을 충분히 감안해 수립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애매모호한 법안이 발효되면 발전업계가 큰 혼선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다.

정부의 온실가스 및 환경규제는 결국 비용으로 내재화 돼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도 나왔다. 발전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강화된 규제를 충족하려면 추가 비용을 들여 환경설비를 보강하는 동시에 발전설비 고효율화를 꽤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발전업계는 비용과 수단이 관건일 뿐, 이같은 파고도 극복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데 대체로 의견을 같이했다. 온실가스의 경우 새 발전설비 도입으로 일단 기존보다 2%를 낮출 수 있는데다 설비 최적운영 여부에 따라 추가 감축이 가능하고, 질소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 규제는 이미 익숙한 영역이란 것. 

석탄화력발전사들은 새로 도입된 수은규제 준수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사진은 c사의 전시팜플릿.  
최근 미국 전력업계에서 새 이슈로 부상한 현안은 올해부터 시작된 당국의 수은배출 규제와 주마다 제각각인 환경정책 및 그에 따른 배출권(크레딧) 소유분쟁이다.

일례로 전기값이 싼 애리조나주는 전력계통을 통해 발전량의 60~80%를 캘리포니아주로 송전하는데, 정작 CO₂감축 책임은 어느주가 떠안아야 하는지는 아직 명확히 정리되지 않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주(州)만 피해를 보고 사용하는 주는 무신경한 오염물질 부하도 형평성 논란을 낳고 있다.

이밖에 전력업계는 새로운 수은 배출규제 준수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데, 향후 한국에서도 같은 배출규제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국내 업계의 선제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존 강 전 플로리다주 JEA발전사 발전소장겸 CTO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석탄화력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의 미국 정책은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 지불하는 높은 숨은비용 탓에 딜레마에 빠질 것”이라며 “기존 화력발전사들이 어떤 전략으로 환경규제를 극복하느냐에 따라 청정에너지 정책의 성패도 갈릴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