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公 비교실험…4인 가구 기준 전기가 69% 비싸, 구입비도 고가

[이투뉴스] 최근 전기인덕션 바람이 불면서 소비자 사이에 전기레인지와 가스레인지의 연료비 논쟁이 적지 않다. 특히 전기제품 관련업체들이 가스연소가 인체에 유해함은 물론 연료비도 전기레인지가 더 싸다고 홍보하면서 시장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도시가스협회(회장 이만득)는 객관적으로 전기레인지와 가스레인지의 경제성을 비교하는 에너지사용량을 조사하기 위해 공신력을 갖춘 한국가스안전공사에 비교실험을 의뢰해 진행했다.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에너지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기레인지 업계에서 가스레인지에 비해 에너지비용이 저렴하다고 주장하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이뤄진 실험이다.

실험결과 서울지역 기준 전기레인지 이용 소비자의 연료비 부담이 가스 보다 69.4%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에너지기기산업진흥원 부설 시험원에서 시행한 가스레인지 유해성 관련 공개실험 결과에서 인체 유해성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에 이어 가스레인지 소비자가 안전하고 경제적이라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라는 게 도시가스협회 측의 설명이다.

이번 비교실험에서는 물 5리터를 동일한 용기로 상온(약 23℃)에서 65℃ 높이는데 소요되는 전기와 가스의 에너지사용량을 각각 3회 측정해 평균값을 산정하고, 여기에 에너지원별 요금을 적용했다.

비교실험결과 소요된 에너지량은 가스는 0.07349㎥, 전기는 0.49911㎾h로 나타났다. 이를 요금으로 산정하면 가스요금의 주택용 단가는 동일하나, 전기의 경우는 누진제로서 사용량이 많을수록 단가가 높아짐에 따라 물 5리터를 65℃ 높이는데 가스는 55.37원이 소요되고, 전기는 62.84원(200㎾미만) ~ 208.48원(500㎾미만)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요금단가는 가스의 경우 서울시 주택용 요금, 전기는 한국전력 주택용 요금 기준으로 산정했다. 하절기 냉방요금 완화정책이 종료되는 오는 10월 이후에는 400㎾미만 구간의 단가(280.6원) 조정으로 에너지비용은 140.05원, 상대지수는 253.0로 각각 바뀌게 된다.

다만, 정부가 금년 하절기 가계의 전기요금 부담완화를 위해 한시적으로 300~400㎾ 구간에 누진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7월부터 9월까지 하절기 3개월간의 가격비교는 200~300㎾ 구간과 동일하다.

▲ 전기레인지 vs 가스레인지 연료비 비교실험 결과

우리나라 도시지역 4인 가구의 전기 평균사용량이 월 366㎾ 수준인 것을 감안해 비교할 경우 전기레인지를 사용할 때 소비자는 가스에 비해 69.4% 더 비싼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가정에서 다양한 전기기기를 사용해 전기사용량이 추가로 늘어나게 되면 전기레인지의 에너지비용은 더욱 가중돼 가스에 비해 2~3배까지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전기레인지의 초기 구입비용까지 고려하게 되면, 전기레인지(인덕션 기준)가 가스레인지에 비해 4~5배 고가임에 따라 구입비용뿐만 아니라, 유지비용에서도 가스레인지가 전기레인지에 비해 월등히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전기레인지 판매업계에서 주장하는 가스레인지의 유해성 논란과 관련해 한국도시가스협회는 지난해 5월 국가공인기관인 한국에너지기기시험원에 의뢰해 일산화탄소 발생량 측정실험을 업계·언론사·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개실험으로 진행한 바 있다.

이 공개실험에서는 실주거환경 25평 면적으로 설계된 실험실(외기와 완전히 차단된 실험주택)에서 2구의 가스레인지를 최대 화력으로 1시간 지속해 사용할 경우 일산화탄소 농도는 최대 24ppm으로 대기중 허용농도 50ppm에 훨씬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안전성이 확인됐다.

최재학 한국도시가스협회 마케팅팀장은 “사실과 다른 가스레인지의 유해성 및 비경제성의 광고 내용은 허위 사실로서 소비자에게 그릇된 정보를 제공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시정되는 게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기의 생산원가가 높고 에너지 전환손실 및 송배전의 어려움이 수반되는 에너지임을 감안할 때, 전기로 취사와 난방을 하는 것은 국가적인 손실일 뿐만 아니라, 향후 지속적으로 전기 취사 및 난방이 급증할 경우 제2의 정전사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국가에너지 균형발전에도 저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에너지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