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식 대비 경제성 우위…10년간 총투입비 GHP:EHP=100:109
’14년 657곳 15만RT→’15년 859곳 20만RT…정책지원 이어져야

[이투뉴스] 가스냉방 보급 확대가 전력피크 완화는 물론 기후변화대응 등 국가 에너지안보에 기여함은 물론 전기식 냉난방기보다 우수한 경제성으로 소비자에게도 편익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냉방 보급이 국가 전체의 에너지 이용합리화 차원에서 큰 역할을 하는데다 소비자에게도 경제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6대 중점과제 중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정책 전환과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분야에서 주요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가스냉방 보급을 가스사업자의 수요확대 수단으로만 생각하는 제한적 범주에서 벗어나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도시가스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4년 가스엔진구동식 히트펌프(GHP)는 471곳 3828대로 6만5113RT이며, 가스흡수식 냉방설비는 186곳 332대 9만1522RT로 가스냉방은 모두 657곳 4160대 15만6635RT가 설치됐다. 지난해에는 GHP 629곳 4510대 7만7332RT, 흡수식 230곳 396대 12만3901RT로 859곳 4906대 20만1233RT가 운용돼 설치개소는 30.7%, 설치대수는 17.9%, 용량은 28.4%가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보급 확대 추세는 설치장려금과 설계장려금 등 가스냉방 지원금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 지난 한 해 GHP 45억9315만원, 흡수식 84억600만원 등 모두 129억9915만원이 지급됐다. 당초 배정된 예산은 60억원. 하반기에 70억원 상당의 추경예산이 편성된 것은 전년도 미지급금이 이월되면서 배정된 예산이 조기 소진됨에 따른 것이다.

이처럼 가스냉방 보급이 상향세를 보이는 것은 일정 규모의 이상의 일반 건축물이나 연면적 1000㎡ 이상의 공공기관 건축물 신·증설 시 냉방설비용량의 60% 이상을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설비로 의무화한 게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냉방으로 인한 전력 피크를 억제하기 위해 가스냉방을 비롯해 심야전기를 이용한 축냉식, 집단에너지를 이용한 지역냉방, 소형 열병합발전을 이용한 냉방,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냉방 등 비전기식 냉방설비 설치를 장려한 조치다.

여기에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인하된 가스냉방요금으로 경제성이 한층 확보된 것도 보급이 늘어난 주요인의 하나로 판단된다.

◇가스냉방요금 2014년 대비 45%↓
냉난방 공조용 하절기(5~9월) 요금은 서울시 기준으로 2014년 8월 MJ당 14.3962원에서 2015년 1월 13.4383원, 3월 11.6941원, 5월 9.6679원으로 하향곡선을 그었다. 이어 9월 10.2073원으로 상승 전환했으나 곧바로 올해 1월 9.0742원, 3월 7.9575원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2014년 8월과 비교해 현재 요금은 45% 인하돼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난방요금도 냉난방공조요금을 통해 가스냉난방이 더 저렴하다. GHP 및 흡수식 냉방설비 등의 냉난방공조용 동절기요금은 MJ당 15.217원으로 업무난방용 MJ당 15.705원보다 3.1% 싸다.

이 같은 경제성은 올해 5월부터 9월까지 여름철 예상되는 냉방비 지수 시물레이션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가스냉방요금을 서울시 기준 하절기 기준으로, 전기요금을 일반용 고압A 선택1 기준으로 48 RT 설비용량의 약 500평 규모 소형건물의 경우 GHP와 전기냉방기 EHP는 100: 268로 나타났다. 약 1000평 규모의 중소형 건물(설비용량 100 RT) 경우에는 100:253, 흡수식과의 비교에서는 132:253으로 제시됐으며, 약 1만평 규모의 중대형 건물은 흡수식 냉온수기와 터보냉동기의 경제성 지수가 100:126으로 나타났다.

GHP 및 흡수식과 전기식의 냉난방시스템 방식별 비교도 다르지 않다. 일반적으로 10년 간 운전이 이뤄진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설비용량 240 RT를 기준으로 중대형 건물을 가스냉난방인 흡수식 냉온수기로 운용할 때 초기투자비와 10년 간 운전비용을 포함한 10년 간 총 투입비는 6억9709만원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전기냉방과 가스난방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터보냉동기와 보일러를 가동할 경우 투자비와 운전비를 포함해 10년 간 8억7934만원, 빙축열과 보일러를 가동할 경우에는 총 7억3230만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간 총 투입비를 지수로 따져보면 가스냉난방:터보냉동기+보일러:빙축열+보일러가 각각 100:126:105인 셈이다.

설비용량 약 20RT 기준의 중소형 건물의 경우 GHP는 투자비와 운전비를 포함해 10년 간 약 6000만원이 들어가며, EHP는 모두 6500만원이 들어가 GHP:EHP가 100:109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스식인 GHP는 초기투자비가 높은 게 부담이지만 냉난방성능이 우수하며 고효율기자재로 EPI 점수에 가점이 부여되고, 설치비 융자 및 보조금이 지급되는 게 이점이다. 반면 전기식인 EHP는 초기투자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변전 설비용량이 늘어나고 혹한기 때 난방성능이 떨어지는 게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시가스업계 관계자는 “기준 국제유가가 넉 달 뒤에 후행적으로 적용되는 천연가스 도매요금의 특성 상 기준유가와 환율이 하향세라는 점에서 5월 도매요금의 인하폭이 3월보다 더 클 수 있다”며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스냉방의 경제성과 함께 ALL 전기화에 대한 국가적 부담에도 불구 가스냉방 보급 확대를 꾀하는 정책적 움직임은 그리 활발하지 않다는 게 관련업계의 아쉬움이다.

산업부 측면에서는 가스냉방 보조금 재원이 전력산업기반기금인데 전력예비율이 20%를 상회하며 충분한 여유가 있는 상황에서 가스냉방 보급 확대에 대한 메리트를 크게 느끼지 못하는 실정이다. 기획재정부도 매년 빠듯한 살림살이로 어려움을 겪는 마당에 본 예산보다 규모가 더 큰 추경 편성이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가스냉방이 발전설비의 효과적 운영을 통해 국가 전체의 편익 증진에 기여함은 물론 기후변화협약 등 세계적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 차원의 긍정적 효과가 분명하다는 점에서 보급 활성화를 위한 예산 배정 등 효율적인 정책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는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채제용 기자 top27@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