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용 → 홍수조절용' 확정 … 참여정부 들어 2번째

발전방류가 완전 중단된 도암댐에 고인 물을 하류로 흘려보내는 방식이 조만간 결정된다. 1256억원 투입돼 건설된 도암댐은 서해로 흐르던 물을 막아 터널을 뚫어 동해로 물을 흘렸었다. 동해안 최초, 국내최대 낙차의 강릉수력발전소를 움직인 주인공이다.

 

만약 민관의 협의를 거쳐 방류방식과 홍수조절 이용여부가 결정되면 동해 쪽 강릉수력은 곧 해체절차를 밟게 될 전망이다. 또 도암댐은 주민반발이나 환경문제로 저수지가 된 참여정부의 두 번째 댐이 될 전망이다. 한탄강댐은 지난해 8월 발전용에서 홍수조절용으로 건설이 확정됐다.

 

21일 산업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강원도와 산자부, 한수원 관계자들은 정부 과천청사에서 도암댐 존폐와 관련된 '제2차 갈등해결 고위급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강원도는 1차 회의때처럼 도암댐 물을 원래 지류대로 영월군 남한강 상류로 방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용역사의 용역결과를 제시했다. 그러나 한수원 측은 비용 등을 이유로 강릉쪽 남대천에 수질개선장치를 설치, 기존 시설을 활용하자는 주장을 폈다.

 

결국 이날 회의에서 양측은 댐 상류에 쌓인 체적물을 공동비용으로 처리하자는 합의만 이끌어 낸 채 방류방향을 강릉으로 할지, 정선으로 할지는 3차 회의에서 논의하기로 결정을 미뤘다. 댐 내부에 쌓인 체적물을 준설하려면 50m인 현재 수심이 25m가 될 때까지 물을 빼야 한다.

 

한수원 수력실 관계자는 "발전을 위해 만든 강릉쪽 기존 도수로를 이용하면 예산도 크게 줄이고 완벽한 여과를 통해 남대천에 깨끗한 물을 보낼 수 있다"며 "남대천으로 물을 빼자는 강원도 주장은 500억 이상의 비용이 들어 수용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충분한 수질정화가 이뤄지면 환경문제도 해결하고 발전설비로 청정에너지도 생산할 수 있지만 보다 성숙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해 안타깝다"고 덧붙여 말했다. 도담댐과 관련 민간 고위 태스크포스는 이달말께 마지막 회의를 열어 방류방향을 결정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