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투뉴스] 올해 1월 상업운영하기로 한 창원 액화수소플랜트가 준공 후 1년 6개월이 넘도록 멈춰선 채 책임공방에 빠졌다. 급기야 운영사인 하이창원이 18일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하면서 책임 떠넘기기에만 몰두하고 있다.

국내 첫 액화수소 생산·공급시설로 관심을 모았지만 사업정상화는 멀어져 가는 모양새다. 시비 60억원 및 도비 40억원 등 세금 100억원이 보조금 형태로 투입된 액화수소플랜트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수익성 및 수요처 확보를 전혀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업비를 빌려준 대주단(대출에 참여한 금융기관)마저 이달 말까지 설비 상업운전 개시를 조건으로 기한이익상실을 선언한 상황이다. 단계적인 자금회수가 아닌 대출금을 일시회수하겠다는 의미다. 금융권조차 사업성을 상실했다고 판단했다는 점에서 되살릴 뾰족한 해법을 기대하기 어려운 처지다.

현장에서도 정상화가 아닌 법과 절차를 무시하고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사업이라는 지적과 적기 인수절차를 밟지 않아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만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수소업계는 이를 두고 “이미 예견된 사태”, “창원시가 무리하게 강행한 후폭풍”, “책임질 사람들이 떠나간 빈자리에 뒤늦은 책임추궁”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공적챙기기에만 급급했던 사업추진의 민낯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플랜트에서 생산된 수소는 당초 충전소, 기업, 연구기관 등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준공시점인 2023년 8월 창원시의회가 입수한 공문에 따르면 액화수소 관련 기준 부재로 산업군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충전소 외에는 처음부터 수요처가 없다는 의미다. 창원산업진흥원은 3차례의  원가산정용역을 거쳐 적정가격을 산출했다고 주장하지만 충전사업자들은 액화수소를 공급받으면 운영적자만 더 늘 것이라며 꺼리는 입장이다. 유일한 수요처인 충전소마저 고개를 돌린 상황이다.

당초 계획된 하루 0.5톤의 생산량을 5톤 규모로 10배나 늘린 점도 석연치 않다. 하루 5톤의 액화수소를 소화하려면 최소 200대 이상의 버스가 필요한데, 창원에서 운영 중인 수소버스는 100여대에 불과하다. ‘떡 줄 사람은 생각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다’는 속담이 있다. 수요처도 없이 장밋빛 전망만 세운 이 사업이 딱 그 격이다.

정상가동되지 못하면 수백억원의 보상책임까지 떠안게 되는 창원 액화수소플랜트 사업. 천억원에 달하는 사업비가 투입된 상징적 사업이 물거품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책임을 묻기에 앞서 사업정상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부터 고민해야 한다.

최인영 기자 doda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