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이 신한울 3호기 원자로건물에서 처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한수원이 신한울 3호기 원자로건물에서 처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이투뉴스] 문재인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으로 백지화가 결정됐다가 윤석열정부 신규원전 건설 재개 결정으로 기사회생한 신한울 3,4호기 원전 건설공사가 본궤도에 올랐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은 20일 경상북도 울진군 신한울 3,4호기 현장에서 본사와 건설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한울 3호기 최초 콘크리트 타설 기념식을 가졌다. 

최초 콘크리트 타설은 원자로건물 기초지반에 처음 콘크리트를 붓는 공정을 말한다. 부지 기반공사를 모두 끝내고 원전 구조물 본공사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첫 타설을 시작으로 원자력발전소 내 모든 건물의 구조물 및 내부공사가 시작된다.

신한울 3,4호기는 2023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실시계획 승인을 받은 뒤 발전소 부지정지 공사에 들어갔다. 주요건물 기초굴착이 가능한 건설허가는 작년 9월 떨어졌다. 

사업 재개 이후 윤석열정부의 원전 생태계 강화 정책을 상징하는 원전이 됐다. 원자로 등 기자재 설치와 단계별 시험을 거쳐 오는 2032년 준공될 예정이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신한울3,4호기의 안전한 건설은 물론 '온타임 위딘 버짓(On-Time, Within Budget)'이라는 목표를 달성해 세계 원전 건설시장에서 K-원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