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어떻게.왜.가능성은?

북한의 2차 핵실험 강행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 가고 있다.

   
미국 언론은 16일(현지시간) 정보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2차 핵실험을 준비중인 징후가 포착됐다고 보도했고, 아소 다로 일본 외상도 2차 핵실험 가능성이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고 확인했다.

   
특히 북한도 17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자주권과 생존권을 털끝  만치라도 침해하려 든다면 가차없이 무자비한 타격을 가할 것", "금후 미국의 동향을 주시할 것이며, 그에 따라 해당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추가조치를 경고, 향후 움직임이 주목된다.

   
◆ 라이스 순방 전후∼내달 미 중간선거 1차 고비 = 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결의안 채택 이후 처음 나온 이날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제2차 핵실험을 경고했다고 봐야 한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김기정 연세대 교수는 "외무성 대변인 성명은 2차 핵실험을 통해  핵보유국으로서 위치를 대내외에 공언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북한의 2차 핵실험 가능성은 1차 실험을 감행한 뒤인 지난 11일 나온 외무성 대변인 담화에서 '연이은 물리적 대응조치'를 경고할 때부터 예견돼 왔다.

  
다만 그 시기를 두고 여러 관측이 제기돼 왔다.

   
일단 북한이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조건부 추가조치'를 경고했기 때문에 2차 핵실험은 하루 이틀 사이에 당장 급박하게 실시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일단  북한이 국제 정세변화 흐름을 관망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 오는 19일로 예정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한과  이어지는 중국 방문 이후 미국이나 일본, 한국 등의 '조율된' 대북조치가  가시화될  경우 북한이 이에 반발하면서 2차 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

   
남성욱 고려대 교수는 "추가 핵실험 시점은 라이스 장관의 동북아 방문과 이후 미국의 중간선거(11월7일)까지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2차 실험을 하더라도 미국의 중간 선거 이후에나 강행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남북관계연구실장은 "미국의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승리하고 1차 실험이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얘기가 오가면 그때 가서 추가실험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규모 더욱 커질 듯 = 2차 실험을 실시한다면 실험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공식 확인으로 1차 실험의 진위 여부 논란은 끝났지만, 1㏏ 이하의 핵실험 규모를 두고 여전히 '실패했다', '절반의 성공'이라는 등 논란이 분분한 만큼  2차 실험을 한다면 대규모로 진행해 이런 논란을 잠재우려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 정치적ㆍ기술적 배경 있어 = 2차 실험을 강행할 경우 기술적,  정치적  이유가 복합 작용한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우선 기술적으로 핵실험은 1차례만 이뤄지는 사례는 없었다. 인도와 파키스탄도 지난 98년 5월 각각 5차례와 6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기술적  측면에서  규모가 다른 여러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안정적인 핵 관련 데이터를 확보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경우 정치적 요인도 2, 3차 핵실험 감행의 이유가 될 수  있다.  확실한 추가 실험을 통해 핵보유국으로 단숨에 오르겠다는 이유도 있다.

   
북한 입장에서는 대외적으로 외압에 굴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미국을  향한 강한 압박을 위해서라도 추가 실험은 필요하다.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은 뒤 장기레이스에 임할 것"이라는 관측도 이 때문에 나온다.

   
또 대내적으로는 유엔 제재결의안까지 통과된 상황에서 앞으로  닥쳐올  '제2의 고난의 행군'에 대비한 확실한 내부 결속용 이벤트도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은 지난 3일 핵실험 실시 방침을 천명한 뒤 6일 만인 9일 전격적으로  핵실험을 실시했다. 핵실험과 관련된 일련의 정해진 로드맵이 있는 것 같다는 분석이 많다.

  
이 때문에 북한이 이미 제2차 핵실험의 시기까지 정해 놓지 않았겠느냐는 추측도 제기된다.

비록 17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에서는 '조건부'로 추가 조치를  경고했지만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이 당장 바뀌지 않으리라는 것은 누구보다 북한이 더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서다.

북한이 언제, 어떤 식으로 이 카드를  꺼낼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