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력계통 안전성 재진단 국제공동 용역' 중간발표 결과

전력거래소 중앙급전소를 방문한 한진현 산업부 차관(우측 뒷편 좌측 두번째)이 남호기 이사장으로부터 수급현황을 보고받고 있다.

[이투뉴스] 국내 전력계통 운용인력이 일본 전력사들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전문인력 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송전설비 과부하로 SPS(고장파급방지장치) 설치가 매년 늘어나는 등 전력망의 안정성이 갈수록 취약해 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종근·윤용태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팀은 지난 7일 전력계통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력거래소에서 열린 '국내 전력계통 안전성 재진단 국제공동 용역 중간 발표회'에서 이런 내용이 포함된 1차년도 연구용역 중간 결과를 공개했다.

박 교수팀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국내 계통의 수급 계획, 계통해석, 계통운용을 담당하는 전력거래소 인력(요원)은 27명으로, 최대수요(7650만kW) 기준 운영인력은 GW당 0.35명 수준이다. 4800만명이 이용하는 8350만kW 규모의 계통을 서른명도 안되는 인력이 맡고 있다는 얘기다.

반면 일본 전력사들은 우리보다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 가까운 전문인력을 가동하고 있다. 7530만kW 설비용량에 6430만kW의 최대수요를 기록한 동경전력은 41명이, 4080만kW 용량에 3100만kW의 최대수요를 나타내고 있는 관서전력은 35명의 운영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계통(설비 3280만kW, 최대수요 2820만kW)을 보유한 중부전력도 우리보다 더 많은 34명의 인력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전력사의 GW당(최대수요 기준) 운용인력은 중부전력이 1.21명으로 한국보다 3.4배 많고, 관서전력과 동경전력도 GW당 각각 1.13명, 0.63명으로 2~3배 가량 많았다. 이중 동경전력은 사전 검토부서에서 추가로 인력 지원이 가능해 실제 인력비율은 더 높은 수준으로 알려졌다.

윤용태 교수는 "전력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기존 계통해석 인력에 과중한 업무가 부과되고 있다"면서 "이는 전력계통의 안정성 확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우리와 비슷한 규모의 해외 전력계통과 비교해 시의적절한 인력보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지속적인 우려가 제기되던 전력망의 건정성 역시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발전설비의 대규모화와 송전설비 건설 지연으로 올해 1월 현재 국내에 설치된 SPS는 41대로, 매년 설치대수가 증가하고 있다. <본지 255호 송전망·전력계통 안정성 '적신호' 기사 참조>

계통이 연쇄적으로 무너지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설치된 이들 SPS중 일부가 제때 작동하지 않으면 전력이 남거나 모자라는 것과 관계없이 대규모 광역정전(블랙아웃)이 초래될 수도 있다. <본지 '전력대란 넘기면 송전대란 기다린다' 기사 참조> 심지어 발전설비가 몰려있는 수도권 신시흥~양주구간 345kV 계통의 10개 변전소중 7개는 모선에서 분리된 상황이다.

박종근 교수는 "계통설비 증설의 어려움과 전력수요의 지속적 증가로 계통 안정운영을 위한 여유가 감소하고 있으나 기존 방식의 운영대책은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라며 "정전예방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제로베이스에서 객관적으로 우리 계통을 진단하고 새로운 방식의 개선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작년 5월부터 내년 4월까지 2년에 걸쳐 수행되는 이번 용역은 '국내 전력계통의 건강성을 객관적 입장에서 재진단해 볼 필요가 있다'는 남호기 전력거래소 이사장의 지시로 착수돼 현재 요코하마 동경대 전기공학과 교수 등 일본 측 연구진이 참여한 가운데 수행되고 있다.

이날 발표회에 참석해 경과를 보고받은 권석기 전력거래소 전무는 "SPS는 완벽한 방비시스템이 아니라는데 문제의 심각성 있다. 계통 전체로 파급되는 영향을 못 본다는 뜻인데, 자칫 전 계통이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