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연탄 교역 불투명 ...당분간 민간사업 지원

대한석탄공사가 추진중인 대북 석탄교역사업이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맞고 있으나 공사는 새로운 활로 개척을 위해 안간힘을 쏟아붓고 있다.

최근 석탄공사는 민간 차원의 경제협력사업 지원을 통해 대북사업의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9일 석탄공사 해외개발실 남북협력팀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해 7월부터 북한 ‘명지총회사’와 합의서를 체결, 무연탄 개발 및 교역을 시도해 왔다. 그러나 실무자간 협의가 난항을 겪고 북 미사일로 남북관계마저 악화돼 현재는 당국자간 소통조차 단절된 상태다.

 

당초 북한 내 유연탄 개발을 목표로 진행됐던 이 사업은 경제성 있는 광산 확보가 어려운데다 광산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북측이 제공하지 않아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조찬제 남북협력팀 과장은 “남측이 단동 대표부를 통해 수차례 요청했지만 북측이 미루고 있다” 며 “기다리고 있으나 당분간 실현은 힘들 것 같다”고 밝혔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한은 연간 2300만톤을 생산할 만큼 석탄 부존량이 많다. 국내서 280만톤을 생산하고 연간 450~500만톤의 무연탄을 수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북한과의 석탄교역은 충분히 경제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석탄공사는 남측이 개발 기술과 장비를 제공하고 북측의 지하자원을 제공받는 ‘유무상통식’ 남북경협을 추진해 왔지만, 북측이 정부투자기관의 불공정거래에 위배되는 일부 조건을 내걸면서 사업추진에는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대북 사업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석탄공사는 사업 활동에 비교적 제약이 덜 따르는 민간기업의 사업을 지원하면서 관련 자료를 확보하는 ‘단계적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

 

조찬제 과장은 “각종 생필품 등을 요구하는 북한은 요구사항이 많은 블랙홀과 같다” 며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당분간 민간차원의 사업 추진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당국간 대화가 재개되면 민간의 추진사업을 지원하면서 석탄공사의 역할을 찾아 나설 예정” 이라며 “향후 수입 자원에 대한 물량 및 수급관리에 대해 권한을 갖는 형태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