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 에너지미래포럼서 정책목표 달성 위한 정책의지 강조
"2030년 온실가스 감축 이행하려면 석탄비중 10% 줄여야"

▲김종갑 한전 사장이 14일 에너지미래포럼에서 '전력산업의 도전과 미래 과제'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김종갑 한전 사장이 14일 에너지미래포럼에서 '전력산업의 도전과 미래 과제'를 주제로 발제하고 있다.

[이투뉴스] 김종갑 한전 사장은 현 정부 에너지정책과 관련, “화석연료에서 신재생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확대 중심에서 수요관리 중심으로 간다고 했지만 2030년에도 석탄 비중이 36%로 화석에너지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수요관리?, 우리는 에너지소비량과 CO₂가 더 늘어나는 나라 중 하나다. 정말 진지하게 (수요관리를)해본 적이 있던가”라고 반문했다.

김 사장은 14일 저녁 서울 서초구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 호텔에서 열린 11차 에너지미래포럼 주제발표에서 전력산업을 둘러싼 정책 환경변화를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변화 추세는 사실이고 국내서도 많이 얘기하지만, (한전사장으로서) 제가 맞닥뜨리고 있는 도전은 깨끗하고, 안전하고, 풍부하고, 값싼 에너지”라고 했다.

정부가 강한 의지를 갖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지, 어떤 대가도 치르지 않고 정책목표 실현이 가능한 지 곱씹어 봐야 한다는 취지다. 김 사장은 “정책이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는 보지만, 아직은 양쪽 다 들고 있는 어려운 환경”이라고 했다.

이날 그는 ‘전력산업의 도전과 미래 과제’란 제목의 발제에 앞서 공공성과 경영효율화를 동시에 요구받고 있는 한전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김 사장은 “한전은 정부가 51%, 민간이 49%의 지분을 갖고 있고, 민간지분의 29%는 외국인이며 해외 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된 유일한 공기업”이라며 “그런데 와보니 주식방에선 52주 최저인데 경영진은 뭐하냐고 아우성이고, 한편에선 혹서기에 전기료 할인해 주겠다고 하지 않았다고 야단도 치고, 덩치만 컸지 338개 공공기관 중 하나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취임하면서 공공성과 기업성을 좀 조화롭게 해 효율도 높이고 국민에게도 기여하는 모델이 없을까 나름 기대도 했는데, 양쪽 모두 만족시키는 게 쉽지 않다. 공공성과 기업성을 모두 잘 반영한다는 것이 가능한지 모르겠다. 아무래도 51%를 가진 정부가 더 역할을 하는 경향이 있다. 과제가 쉽지 않지만, 출발할 때 소망을 이뤄보겠다는 마음은 아직 갖고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시장환경과, 소비자의 인식은 변화하고 있다고 주지했다. 전통 전력산업과 건설·금융·통신·IT 등 기타산업이 BTM(Behind the Meter) 시장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상품가격과 양, 공급자 명성 등을 따지던 소비자는 가치와 경험, 서비스 내용 등을 중요시 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전력산업의 메가 트렌드는 탈탄소화, 분권화, 디지탈화라는 세 축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변화가 전통 유틸리티 산업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봤다. 김 사장은 "우선 분산전원 확대는 분명 한전 매출을 줄이게 될 것이다. 그렇지만 땅이 좁고 전력망 연결이 효율적이며 전세계서 가장 유지비와 손실률, 정전시간이 짧은 한국에서 분산전원이나 마이크로그리드가 아주 많이 생겨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투자수요가 증가하고 전력망 운영의 난이도나 시장 복합도, 불확실성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사장에 따르면, 정부가 MW이하 재생에너지 무제한 접속방침을 밝힌 이후 지난 1년 10개월간 접수된 계통연계 신청물량은 5만건, 13GW에 달한다. 이중 한전은 82%에 해당하는 물량은 1년내 접속완료 했고, 나머지 18%는 아직 연계가 이뤄지지 않았다. 변전소 용량을 키우고, 배전망을 증설하느라 향후 3년은 소요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굉장히 민원도 많아지고 연결도 복잡해질 것이다. 하지만 다른나라처럼 큰 규모로 (확대되지는)아닐 것"이라고 예측했다.

오히려 가장 큰 난관은 탄소배출량 감축이 될 것이라고 지목했다. 김 사장은 "2030년에 석탄비중을 36% 가져가선 발전부문 감축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 대략 계산하더라도 2030년까지 석탄 비중을 10%P 더 낮추고 나머지를 모두 LNG발전으로 돌리면 가능하다. 더욱이 2030년에 지금보다 전력소비를 8% 줄여야 한다. 굉장히 어려운 과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사장은 "그래서 정부에 수요관리를 정말 심각하게 해야하지 않겠느냐고 제안한다. 산업용 전력 비중이 56%인데, 하루아침에 이 구조를 바꿀 순 없지만 지금부터라도 심야경부하 바로잡고 에너지절약 솔루션을 적용해서 왜곡된 소비는 바로잡아야 한다. 같은 제품을 생산하면서 독일보다 에너지를 2.7배 더 쓰는 게 우리실정"이라며 "이제 대기업도 시작하는 단계인 디지털팩토리로 효율을 높이고 건물에너지는 규제를 강화하는 수밖에 없다"고 역설했다.

전력 부문 개선과제로는 가격시그널 기능 회복을 꼽았다. 그러면서 "에너지전환과 탈원전에 대한 해석은 각자 다른데, 제가 볼 때 아직은 원자력을 감축시키는 것과 가격은 관계가 없다. 아직은 계속 짓고 있고, 에너지전환으로 인한 가격인상요인은 거의 없다. 일부서 원전 가동률이 90%대에서 낮아졌다고 하지만, 과거가 비정상이었다. 안전은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 올해 가장 큰 재정적 어려움은 정책이 아닌 연료가격 상승이었다"고 말했다.

한전의 새로운 먹거리 창출은 빅데이터와 디지털화로 가능하다는 견해도 피력했다. 김 사장은 "한전이 연간 3조3000억개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한 조직에서 이렇게 많은 데이터가 나오기는 어렵다"면서 "현재 238개 한전 IT시스템을 1개의 폴랫폼에서 활용하는 과제를 진행 중이다. 7월에 디지털변환처도 새로 만들고 실리콘밸리서 사장보다 월급 5배를 받는 인력도 데려오려 한다. 한전 주변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스타트업기업을 많이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