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는 국가 확충목표 수립 정책지원
한수원은 매년 1500억원 안팎 운영손실

▲국가별 양수설비 보유량. (2021년말 기준) 전체 164.76 GW로 수력설비량의 12% 차지하고 있다. 국제수렵협회(IHA)는 2030년까지 78GW의 신규양수가 건설돼 설비용량이 238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수력산업협회 제공
▲국가별 양수설비 보유량. (2021년말 기준) 전체 164.76 GW로 수력설비량의 12% 차지하고 있다. 국제수렵협회(IHA)는 2030년까지 78GW의 신규양수가 건설돼 설비용량이 238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수력산업협회 제공

[이투뉴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과 간헐성을 보완해 줄 양수발전 등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확충이 시급하지만, 정부 차원의 건설 목표나 관련투자를 유인할 전력시장 정산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아 탄소중립 시대 적정 전원구성에 차질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7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전 세계가 태양광·풍력 확대에 나서면서 2020년에 약 260GW, 이듬해에는 290GW의 재생에너지 설비가 새로 건설됐다. 같은기간 국내 태양광+풍력 신규 설치량(바이오 제외)도 각각 4.9GW, 4.5GW에 달한다.

연료가 필요없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데다 완공까지 최소 5년에서 최장 10년 이상이 걸리는 화력·원자력과 달리 1~2년 이내 준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재생에너지도 약점은 있다. 계절, 날씨, 주·야간에 따른 출력 변동성과 간헐성이 커 전력망과 수급에 큰 영향을 준다.

당국은 국내 태양광 설비의 하루 출력 증감폭이 이미 10~15GW까지 벌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응해 각 국은 유연성과 경제성, 친환경성 등을 두루 갖춘 대용량 ESS 확보에 나서고 있다. 우선 재생에너지 설비 비중이 40%에 이르는 중국은 2030년 양수설비 120GW, 배터리 100GW 확대를 목표로 34개 지역에 신규 양수를 건설하고 있다.

지난해 준공한 허베이성 펑닝 양수의 경우 설비량 3.6GW, 저장량 18GWh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중국은 작년말 36GW인 설비를 2025년 62GW, 2030년 120GW, 2035년 300GW 순으로 늘린다는 목표 아래 재생에너지 ESS확보 의무를 부과하고 시장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미국도 대용량 ESS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90건, 80GW규모 신규양수 프로젝트가 예비 및 본허가 심사를 받고 있다. 주(州)별 2030년 ESS(배터리포함) 목표는 캘리포니아 1GW, 뉴욕 6GW, 뉴저지 2GW, 네바다 1GW, 버지니아 3GW, 코네티컷 1GW, 미시건 2.5GW 등이다.

앞서 미 NREL(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모두 250~630GW의 ESS가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냈다. 2020년말 현재 미국 양수설비량은 22GW이며, 2050년 예상 설비량은 최대 150GW이다.

한때 54기의 원전을 운영하면서 양수설비를 27GW까지 늘린 일본은 다소 여유롭다. 2.3GW의 설비를 보유한 규슈지역은 2012년 대비 양수운전횟수를 30배 늘려 태양광 발전의 변동성을 감당하고 있다. 이 지역의 태양광 발전량은 피크수요의 65~85%를 점유하고 있다.

이밖에 지난해 영국은 계통운영기관인 내셔널그리드ESO를 통해 2030년 최대 18GW, 2050년 63GW의 ESS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30년만에 양수건설을 재개했다. 2024년 스코틀랜드 대협곡에서 설비용량 1.5GW, 저장용량 30GWh규모 초대형 양수를 착공할 예정이다.

국제수력협회(IHA)에 의하면 2030년까지 78GW의 신규양수가 건설돼 전 세계 설비용량이 238GW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미 착공했거나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는 용량도 284곳, 226GW에 달한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오는 2050년의 양수설비 용량을 325GW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2050년 재생에너지 70% 목표를 내건 우리나라는 9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한 신규양수 3건과 변동성 대응 배터리 약1GW 외에 아직 국가차원의 확충계획이 없고, 그나마도 전력시장 제도가 미흡해 발전사업자들의 신규투자를 유인하지 못하고 있다.

전력시장통계를 보면 2020년 양수발전 연간 정산금(발전사에 지급한 대금)은 3680억원으로 전체 정산금(43조6000억원)의 1%에도 못 미친다. 그나마 작년말부터 용량정산금을 늘려 여건이 나아졌지만, 매년 1500억~1700억원의 적자를 한국수력원자력이 감당하도록 방치했다.

이와 관련 전력거래소는 내년 제주 실시간시장 시범도입과 2025년 육지 전면도입을 앞두고 양수발전과 배터리ESS 입찰과 급전 등에 관한 외부 연구용역을 의뢰한 상태로 알려졌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양수발전 설비를 반영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김은수 한국수력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ESS없이는 탄소중립 전력망 운영이 어려운데 아직 우리나라는 그에 관한 본격 논의를 시작하지 못한 상태"라면서 "양수의 경우 앞으로는 고정비가 20~30% 더 비싼 가변속설비가 필요하다. 시장에서 생존여건이 안되면 아무도 신규투자에 나서지 않으려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회장은 "정부차원의 ESS 확보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원활한 투자가 가능하도록 전력시장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