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 협·단체, 환경운동연합 보고서에 반박

[이투뉴스] 최근 환경운동연합이 발간한 ‘한국 바이오연료 정책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로 인해 바이오에너지 업계가 떠들썩하다. 보고서에 바이오연료가 제주 화력발전에 이용되면서 재생에너지 보급에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는 내용이 담겼기 때문.

이에 한국바이오연료포럼과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는 26일 바이오연료가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역행한다는 주장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보고서는 바이오연료가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인정받아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오히려 제주도 화력발전에 이용되면서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연료를 혼소하는 화력발전 증가로 전력 생산이 과도하게 이뤄지면서 지난해 풍력발전 강제 출력제한이 77회 발생했고 올해도 200회 가량 이뤄질 전망이라는 것이다.

바이오디젤의 원료가 되는 팜유 및 팜 부산물의 수입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보고서에 의하면 2009년 수입한 팜유와 팜 부산물은 12만2000톤에서 지난해 48만8300톤으로 4배 증가했다. 팜유와 팜 부산물이 차지하는 전체 원료 비율도 2009년 43.2%에서 지난해 63.5%로 수입의존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해 EU가 팜유를 바이오디젤 원료에서 퇴출하기로 한 점도 언급했다. EU는 팜유와 같은 농산연료 비중을 7%로 제한하고 2030년까지 바이오디젤 원료에서 퇴출하기로 한 바 있다.

이같은 주장에 바이오에너지협회는 “벙커C유를 사용하던 화력발전소가 바이오중유로 에너지전환을 하면서 제주도 화력발전 규모가 증가해 재생에너지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항변했다. 지난해 제주지역 원별 발전실적을 보더라도 제주에서 생산하는 대부분의 전기를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다는 주장은 거짓이라는 것이다. 또 바이오중유 및 LNG를 이용해 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것은 태양광과 풍력만으로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나라 바이오중유 사용 발전소는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36년까지 순차적으로 폐지계획이 세워져 있는 만큼 바이오중유 사용폐지를 서두를만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바이오디젤 혼합의무 비율(RFS) 증가로 국내에서 원료를 충당할 수 없어 수입이 증가한다는 비판에 대해선 “국산 원료 비중은 줄더라도 범지구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동참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EU의 팜유 퇴출에 대해서도 “EU가 팜유를 퇴출하려는 것은 환경을 파괴한다는 의미가 아니다”며 “EU가 팜유 대체로 내세우는 유채유는 더 많은 장비와 연료가 필요하다”고 국가 간의 이권 문제에 현실적으로 접근할 것을 주문했다.

바이오에너지협회 관계자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주요수단인 바이오연료와 그로 인한 친환경적 결과물을 오해와 편협한 인식으로 오염시키고 있다”며 “주섬주섬 주워얻은 이론으로 바이오연료 산업을 곡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실이 아닌 내용으로 정부 정책을 흔들어선 안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보고서에서 인용한 수치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를 분석하고 열거하는 방법에 모순이 있어 합리적이지도, 사실적이지도 않다”며 “현장의 목소리와 현실이 반영되지 않았을뿐더러 특정 이데올로기를 합리화시키는데 유리한 부분적 사실에만 매달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진오 기자 kj123@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