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연휴에 원전 계획감발하고 태양광 제약
대리출력제어 제도와 비중앙발전기 제어도 검토

정부와 전력당국이 봄철 경부하기간 연휴에 일부 원전 계획감발과 태양광 출력제어를 예상하고 있다. 대신 정부는 출력제어 자원의 손실을 보상하는 시장제도개선과 비중앙발전기의 중앙발전기 편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전력거래소 중앙관제센터에서 관제원들이 전력수급 현황을 지켜보고 있다.
정부와 전력당국이 봄철 경부하기간 연휴에 일부 원전 계획감발과 태양광 출력제어를 예상하고 있다. 대신 정부는 출력제어 자원의 손실을 보상하는 시장제도개선과 비중앙발전기의 중앙발전기 편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전력거래소 중앙관제센터에서 관제원들이 전력수급 현황을 지켜보고 있다.

[이투뉴스]  전력수요는 연중 최저 수준으로 줄고 원전·태양광 등 발전량 조절이 안 되는 경직성 전원 비중은 최고치로 상승하는 봄철 경부하 기간을 앞두고 전력당국이 전력계통 안정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가운데 올봄에도 일부 연휴기간은 원전 출력감발과 태양광 출력제어(Curtailment)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출력제어에 참여하는 발전자원이 전력시장에서 일정 수준의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16일 발전업계와 정부 자문 전문가들에 따르면 당국은 전날 계통평가위원회 개최를 시작으로 19일 유관기관과 사업자들이 참여하는 계통 안정화 대책 간담회를 통해 주요계획을 공유한 뒤 조만간 신뢰도협의회와 전력망혁신TF 회의를 잇따라 열어 이행대책을 확정할 예정이다. 봄철 경부하 대책은 이달 23일부터 시행하는 것으로 일정을 잡았다.

예년만큼은 아니지만 올봄 계통여건도 녹록지 않다. 전력수요가 많은 동·하계 수급대책기간에는 공급을 여유롭게 가져가면서 출력조절이 가능한 석탄·LNG·양수발전 등으로 수급균형을 맞출 수 있지만, 반대의 상황인 춘·추계 기간에는 원전·태양광만으로도 공급이 넘치는 시간대가 많은데다 수요급변에 대응할 유연자원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봄철 경부하기 예상 가동원전은 15~20기 사이, 태양광은 실시간 계량이 안되는 자급자족용을 포함 용량이 30GW에 육박한다.

당국은 중앙급전발전기를 비롯해 필요시 열병합·연료전지·바이오·소수력·소각장·등의 비중앙발전기도 감발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원전의 경우 핵연료별 감발횟수 여력을 고려해 주말은 가급적 정상가동하되 사흘 이상 연휴(어린이날 전후)에는 미리 출력을 낮추는 안(案)을 논의하고 있다. 태양광은 과거 3년 평균 이용률을 적용하면 출력제한을 피할 수도 있으나 평년보다 이용률이 높을 경우 일부 가동중단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최저부하는 내달 3~4번째 주에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출력제한이나 조절에 참여하는 발전기들의 손실이나 비용을 보전하는 시장제도개선도 처음 추진한다. 기술적으로 출력제어가 어려운 태양광들이 제어에 참여하는 태양광의 손실을 보전하는 형태의 대리출력제어제도와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도입 전까지 어느 정도 출력조절이 가능한 비중앙발전기들을 중앙급전발전기로 편입해 상응한 보상을 주는 제도 등을 검토하고 있다. 어떤 형태든 기존 전력시장 내 이해관계 조정과 제도 설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운영대책 수립에 관여하고 있는 한 전문가는 “과거엔 유관기관인 전력거래소나 한전, 에너지공단 등이 각각 대책을 내놓고 참여하는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산업부가 컨트롤타워가 돼 중심을 잡고 가는 차이가 있다”라면서 “사업자들도 시장에서 실질적인 비용이나 손실이 회수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를 설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전 누적적자 등을 이유로 현 정부가 원전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하면서 계통 운영여건은 과거보다 빠듯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에 의하면, 봄철 경부하기간 정비예정인 원전은 신고리1호기(3월 12일~4월 21일), 신고리2호기(5월 2일~6월 20일), 한빛1호기(작년 12월~6월 23일), 한빛4호기(4월 21일~6월 2일), 월성 4호기(4월 20일~8월 31일), 새울2호기(3월 11일~4월 29일) 등 6기이다. 하지만 전체 설비량(24기·23.9GW)에 비춰 중점 정비기간치고는 정지기수가 적다.

일각에선 이참에 원자력 안전규제 당국이 차일피일 결정을 미뤄 온 격납건물 불량 수소제거기(PAR) 최종처분 결론을 내려 순차적인 가동정지와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대해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소장은 “원전을 가동하면서 PAR를 교체하는 건 불가능하다. 국산화한다고 불꽃이 튀는 설비를 개발해 놓고, 규정에 없으니 문제가 안된다며 방치하는 건 비상식적인 책임방기”라면서 “원자력계가 자정기능을 잃었다. 해외원전을 수주하겠다면서 그렇게 하면 누가 신뢰하고 원전을 사겠냐. 일반 국민도 판단할 수 있는 문제를 국가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상복 기자 lsb@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