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발행인

이재욱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중국 정부는 지난달 말 원자바오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에너지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위원장 격인 주임을 국무원 총리가 맡고 부주임에는 차기 총리로 유력한 리커창 상무 부총리가 선임됐다.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산하에 사무국 성격의 판공실을 설치, 장핑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이 겸직하도록 했다. 판공실 부주임은 차관급인 장궈바오 국가에너지 국장이 겸직한다.

어느 나라나 에너지 정책을 총괄하는 위원회는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도 국가에너지위원회가 있다. 작년에는 에너지 정책을 수렴하는 녹색성장 개념이 나오면서 더 상위기관 격으로 총리를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녹색성장위원회가 있다.

그러나 중국이 이번에 새로 구성한 국가에너지위원회는 다소 느슨한 형태의 우리나라와는 사뭇 모습이 다르다. 우선 그 구성원부터가 범상치 않다. 재정ㆍ외교ㆍ상무ㆍ환경ㆍ세무ㆍ교통 등 주요부처 장관은 물론 중앙은행 총재까지 망라되어 있다.

더욱이 미국의 중앙정보국(CIA)에 해당하는 국가안전부 책임자와 함께 군 관계자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같은 광범위한 규모의 위원회 구성에 대해 전문가들은 그 역할을 놓고 여러 가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를테면 국가안전부는 수단과 미얀마를 비롯한 남미와 아프리카 국가의 자원이 풍부하지만 테러와 독재로 문제가 되는 국가들과 접촉하는 역할을 맡지 않겠느냐는 것.

아울러 군은 해외에서 확보한 자원의 안전한 국내 운송에 역점을 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국가에너지위원회는 중장기적인 에너지 수급과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에너지와 자원 안보에 관한 주요 현안을 심의한다. 또한 국내 에너지 개발과 국제 에너지 협력 문제에 대해 정부 부처 내부의 총괄적인 조율도 맡게 된다는 것.

우리는 앞서 중국의 싹쓸이식 자원확보에 우려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중국으로서는 30여년간에 걸친 두 자릿수 경제성장으로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가 그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더욱이 석유의 경우 자립국이었다가 수십년 전부터 수입국으로 전락하면서 위기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공격적으로 자원확보에 나서고 있다. 오래 전부터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나름대로 큰 지분을 지니고 있다. 77그룹의 대표로서 장기간 공을 들인 결과 아프리카에서는 중국을 제치기가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토로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같은 나라의 전문가들도 우리 측에 중국과는 경쟁하지 말고 중국의 관심이 없는 분야에 집중하라고 충고한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국가에너지위원회까지 발족하고 본격적으로 나섰다는 것은 에너지 자원확보를 둘러싼 경쟁이 더욱 첨예해질 것을 의미한다.

세계 경제가 회복 추세를 보이면서 원유값을 비롯한 국제 원자재가격이 들먹이고 있다. 중국이 자세를 다잡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우리가 한치도 방심할 수 없는 이유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