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발행인

이재욱 발행인
[이투뉴스/사설] 서울 도심에서 일어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가스통 폭발사고는 예고된 인재였음이 드러났다. 지식경제부와 교통안전공단ㆍ한국가스안전공사가 작년 12월부터 올 2월까지 3개월간 전국의 CNG 버스 4300대를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한 결과 무려 201대(4.7%)에서 용기 결함이 발견됐다. 특히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료 누출이 134건으로 가장 많았다는 것.

서울을 비롯해 전국에서 운행중인 천연가스 버스 100대중 5대 가량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도 차일피일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정부 당국의 강심장에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다. 당국자들은 버스를 잘 이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가.

서울시에서 운행되는 버스의 95%는 CNG를 원료로 한 버스이며 전국적으로도 70% 이상이다. 천연가스 버스는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확실한 방안으로 인식돼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가 우선적으로 도입했다. 천연가스 버스 덕분에 도심의 공기가 맑아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민의 안보가 담보되지 않은 대기오염 방지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전국적으로 1만여대가 넘는 천연가스 버스가 운행되는 것에 비하면 사고율은 낮다고 말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시민의 안전 문제는 그 누가 뭐하고 해도 뒷 순위로 넘겨놓을 수 없는 일이다.

지난번 서울에서 일어난 폭발사고로 멀쩡한 버스 고객이 발목이 절단되는 큰 상처를 입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버스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아울러 버스 기사 노조도 성명을 내고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천연가스 버스의 운전을 거부할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천연가스 버스에 대한 안전불감증은 천연가스 연료를 취급하는 정부 부서가 여러 군데로 나누어져 있어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는데도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스 안전 문제는 지식경제부와 가스안전공사가 맡고 있는 반면에 버스의 천연가스 사용은 교통안전공단이 검사를 맡고 있다. 버스를 실제로 운영하는 것은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 이처럼 천연가스 버스를 둘러싼 행정체계가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근원적인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외국의 경우 CNG를 사용하는 버스는 안전을 위해 버스의 지붕위에 설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토해양부와 지자체 등이 미관을 이유로 버스 바닥에 적재하고 있다. 지붕위에 가스통을 놓을 경우 만일의 사태에도 밖으로 가스가 새나가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우리처럼 버스 바닥에 8개 되는 가스통을 싣고 다니는 CNG버스의 안전도 보장되지 않는다면 달리는 폭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이 됐지만 정부 당국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보다 근본적이고 원천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부서 이기주의에 따라 이리 밀고 저리 밀 일이 아니라 서로 머리를 맞대고 두번 다시 폭발사고가 나지 않도록 만반의 대책을 강구하길 촉구한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