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여파 냉각시스템 붕괴 방사선 유출
"우리나라도 안전지대 아니다"

[이투뉴스]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강진으로 원전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하는 등 직접적인 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에는 제1발전소와 제2발전소로 나눠 모두 10기의 원자로가 운용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한 제1원전은 모두 6기의 원자로가 있는데 지난 1971년 첫 가동후 수명연장을 통해 운영하고 있었다.

일본 현지 언론에 따르면 지진으로 문제가 발생한 발전소 대부분의 사고 원인은 냉각시스템 이상이다.

원자력발전소는 핵분열이 일어나는 원자로 중심인 노심에서 발생한 열로 물을 끓이고 끓인 물을 냉각수로 식힌 후 재사용하는데 냉각시스템이 고장나 노심의 온도를 낮출 수 없다는 것.

이로 인해 제1원전 1호기는 지난 12일 폭발했다. 이 사고로 핵연료봉이 70% 정도 파손됐고 냉각수 사용이 어려워져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바닷물을 주입하고 있다.

2호기는 15일 격납용기의 뚜껑과 격납용기와 연결된 수조가 손상돼 폭발했다. 이 사고로 핵연료봉이 일부 노출됐으며 현재 1호기와 같은 방법으로 바닷물을 냉각수로 사용하고 있다.

지난 14일 1호기와 같은 이유로 폭발한 3호기는 방사선을 포함한 수증기가 다량 노출돼 방사선 공포가 확산됐다. 현재 핵연료봉이 노출된 상태고 직원들을 투입할 수 없어 헬기를 동원해 바닷물을 살포하고 있다.

15일 폭발한 후 16일 화재까지 발생하면서 폐쇄된 4호기는 사용후 핵연료를 보관하는 수조의 냉각수가 증발됐다고 알려졌다.

아직까지 폭발하지는 않았지만 5호기와 6호기도 안전하지만은 않은 상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5호기와 6호기에도 냉각수를 넣고 있으며 지진으로 상승한 사용후 핵연료 온도를 낮추기 위해 집중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화재로 일본의 방사선수치가 법적 한계용량인 500마이크로 시버트를 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NHK> 등 현지언론은 15일 후쿠시마 원전 주변의 방사선 수치가 821 마이크로 시버트까지 올랐다며 법적 한계 용량보다 17배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 러시아 등이 자국민을 일본에서 탈출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80km이내 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중인 국민들은 속히 귀국하거나 80km 밖으로 피난하라고 권고했다.

러시아 정부는 귀국을 희망하는 대사관 직원의 가족을 모스크바로 돌려보낼 계획이며 미국 정부는 자국민들이 후쿠시마 원전 소재지에서 80km까지 피난하라고 권고했다.

뉴질랜드 외무장관도 일본에서 떠나는 것을 권고했으며 남아있어야 한다면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 80km의 거리를 유지하라고 밝혔다.

캐다나 정부는 지진 쓰나미 피해 현장에 파견했던 의료 구호팀을 철수시켰다.

한편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 6기가 수명연장을 통해 운영되는 노후발전소인 것이 알려지면서 월성원전 1호기도 조기 폐쇄해야하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또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도 재검토해야한다는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는 올해 2월 폐쇄될 에정이었던 노후 발전소"라며 "월성 1호기도 수명연장 등으로 운영한다면 경주는 제2의 후쿠시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현재 건설되고 있는 경주 방폐장 1단계 공사의 안전성도 재검토해야 하며 원자력 안전 강국인 일본이 지진 피해로 방사선이 노출된 만큼 정부가 방제대책 마련을 심도있게 논의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여야 의원들도 지난 14일 열린 동일본 대지진 사태와 관련한 정부 보고에서 안전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의원들은 일본보다 3m정도 낮은 지표에 건설됐고 방파제 높이가 3m에 불과해 쓰나미에 취약하다며 안전기준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했다.

장효정 기자 hyo@e2news.com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