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재욱 발행인

[이투뉴스 / 칼럼] 3월11일 동일본을 강타한 지진으로 일본의 전력산업이 크게 휘청거리고 있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는 물론 지진피해 및 안전상의 우려로 일본내 원자력발전소 54기중 37기가 가동 중단상태. 특히 도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은 원전 가동중단의 직격탄을 맞았다. 넥타이를 매지 않도록 금지한 것은 물론이고 대형 제조업체들은 전력소비가 적은 주말에 근무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15% 절전이 의무화됐다.

일본의 원자력발전이 전체 전력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 13개월마다 원전이 안전을 위한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 가동이 중단되면 내년 3월이면 54기 전체가 멈출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본의 제조업체들은 초 비상상황에서 가능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거나 적게 쓰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반도체 등 전자부품이나 화학 및 금속소재 등의 생산공장은 불안정한 전력공급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우려하고 있다. 전력사용이 불안정하면 제품 불량률이 그만큼 높아지고 조업단축에 따른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해외로 이전함으로써 분산화시키는 전략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 전자기판의 핵심소재인 초 경박형 동박(銅箔) 분야에서 세계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미쓰이 금속은 말레이시아로 일부 생산기능을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핵심부품소재 업체들은 특히 중국이나 대만, 동남아 등지에서 전력소비가 많은 제품은 생산하되 필수적인 소재만 일본에서 제조함으로써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안을 찾는데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부품 소재에 꼭 들어가야 하는 희토류의 경우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중국 정부가 수출을 제한하고 있는 점에 착안해 중국으로의 거점이전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정부 또한 이런 이점을 얻기 위해 제도적인 배려를 아끼지 않고 있다.

일본은 또한 국민의 80%가 반대하는 원자력발전 비중을 줄이기 위한 그린에너지 산업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다. 2000년 이후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집중지원을 끊었다가 독일 일본 등에 추월당한 점을 뼈아프게 반성하고 있다.
일본의 전력대란으로 인한 산업계의 움직임은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자칫 잘못하면 일본의 핵심 부품소재 산업이 우리의 경쟁국인 중국이나 대만 또는 동남아시아로 이전될 경우 우리가 낙오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의 산업 동향을 유심히 살펴야할 큰 이유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값싼 전력요금이라는 특장을 갖고 있다. 반도체 관련산업 등 첨단 공장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무엇보다 긴요하다. 이런 이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일본의 산업계 동향에 민첩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투뉴스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빠르고 알찬 에너지·경제·자원·환경 뉴스>

<ⓒ모바일 이투뉴스 - 실시간·인기·포토뉴스 제공 m.e2news.com>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